위성·케이블 갈등 불똥…SO 송출 중단당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경인방송(iTV) 좀 나오게 해 주세요."

최근 방송위원회 등 방송 유관기관 홈페이지에는 iTV를 다시 볼 수 있게 해 달라는 민원이 줄을 잇고 있다. iTV가 왜 보기 힘들어졌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지난 1월 21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전국 지역케이블방송국(SO)에 공문을 발송했다. 위성방송 스카이라이프의 KBS2-TV 불법 재송신을 막기 위해선 케이블 업계가 먼저 법을 지켜야 한다는, 소위 '준법투쟁' 당부였다.

그리고 이날 이후 방송법상 허가된 권역을 넘어 SBS와 iTV를 암묵적으로 내보내 오던 지방 SO들이 이들 방송을 끊기 시작했다. 지역 네트워크가 없는 iTV에 자연히 충격이 집중됐다.

공문이 발송된 직후만 해도 서울지역 22곳, 전국 61곳의 SO가 iTV를 '중계'했지만 5월 초 현재 서울지역 3곳, 전국 19곳으로 줄었다. 그나마 경기 지역을 빼면 남은 SO는 4곳에 불과하다. iTV는 엉뚱한 불똥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된 셈이다.

iTV로선 황당한 일이지만 '법대로'라니 달리 내세울 명분이 없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활로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체 제작 비율이 75%에 달하지만, 지역 민방을 통해 프로그램을 내보낼 길은 막혀 있다.

지역 민방들은 SBS 프로그램을 60~80% 방송하는 대신 전파중계료 명목으로 광고비 일부를 받는다. 반면 iTV에는 구애의 손길을 내밀지 않고 있다. 지난달 출범한 한국민영방송협회에도 SBS를 포함한 10개사가 모두 들어갔지만 유독 iTV만은 '왕따'를 당했다.

누적적자가 1천억원이 넘는 iTV로선 이래저래 발을 동동 구를 수밖에.

이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