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한 인권 실태, 가슴이 찢어져" 오준 유엔대사 연설에 2030 열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 북한 인권을 공식 의제로 채택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말미에 오준(59·사진) 주유엔 대사의 목소리가 마이크를 타고 흘러나왔다.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 주민들은 그냥 아무나(anybodies)가 아닙니다. 비록 지금 그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어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들이 겨우 수백㎞ 거리에 있다는 것을 말입니다. 우리는 (북한의 인권 유린을 고발한)유엔 북한조사위원회의 보고서를 보며 가슴이 찢어지고, 탈북자들의 얘기를 들을 때마다 같은 비극을 겪은 듯 눈물을 흘립니다…(중략). 부디 훗날 우리가 오늘을 되돌아볼 때 북한 주민을 위해 옳은 일을 했다고 말할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회의장은 숙연해졌다. 인권운동가 출신인 서맨사 파워 주유엔 미국 대사는 오 대사의 연설에 귀기울이며 눈물을 글썽거렸다. 울림은 회의장을 넘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번졌다. 특히 한국의 ‘2030세대’의 반응이 뜨거웠다. 연설 장면을 담은 동영상을 공유하며 북한 주민의 아픔에 무심했던 자신을 반성한다는 댓글을 올렸다. SNS 상에선 ‘오준 대사’ 신드롬이 확산됐다.

 뉴욕의 오 대사에게 28일 전화를 걸었다. 그는 “예상치 못했던 관심에 감사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SNS를 통해 오 대사에게 직접 소감을 전한 이들이 1주일도 안돼 수백명에 달했다고 한다. 800명 정도였던 오 대사의 페이스북 친구는 최근 사흘만에 1200여명으로 늘었다. 그는 “친구를 신청해온 사람들이 대부분 학생, 군인 등 젊은이들이었다. 북한 문제에 무관심한 것처럼 보이는 젊은층 역시 동포의 고통을 공감하고 있다는 점을 느꼈다”고 말했다.

 오 대사의 연설은 원고도 없었던 즉흥 연설이었다고 한다. 실제 동영상을 보면 오 대사는 5분 정도 한국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밝히다가 이후엔 다른 이사국 대표들을 똑바로 바라보며 연설한다. “북한 주민들에 대한 우리의 특별한 감정, 그 절박함을 전달하려면 공식 입장만으론 충분치 않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오 대사는 “다른 나라에게 북한 인권은 국제 인권 문제들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우리에게는 아니기 때문이다. 한국이 안보리 이사국 임기를 북한 문제로 마무리한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아픈 우연인지를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국가들 생각을 다 들은 뒤 소회를 밝히고 싶어서 맨 마지막 순서로 발언을 신청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오 대사도 광의의 실향민이다. 그는 “어머니의 고향이 개성이고, 장인어른이 함경도에 살다가 6·25전쟁 때 월남했다”며 “장인어른은 계속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했지만, 끝내 북에 있는 가족들을 만나지 못한 채 10년 전 쯤 작고했다. 그 아픔이 어떤 것인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1978년 외교부에 입부한 오 대사는 외교관 생활의 대부분을 유엔 등 다자외교 분야에서 근무했다. 지난해 9월 유엔 대사로 부임했다.

유지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