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이란 핵활동 중단 결의안 채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11일 이란에 대해 모든 핵 활동을 중단하고 향후 회담에 문을 열어 놓을 것을 요구한 유럽연합(EU) 결의안을 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채택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미국은 "IAEA 결의안은 이란이 위험한 길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국제사회의 결의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영국.프랑스.독일 등 3개국이 입안한 결의안은 지난 8일 이란의 핵 활동 재개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으나 제재권을 갖고 있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EU 외교관들은 "이란 정부가 결의안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IAEA가 9월 이란 핵문제를 안보리에 상정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란은 "IAEA가 EU 결의안을 채택해도 소용없을 것"이라고 밝혀왔기 때문에 이란은 IAEA 결의에도 불구하고 핵 개발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란은 앞서 10일에는 이스파한 우라늄 전환시설의 봉인을 해제했다. 마크 그보즈데키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변인은 "핵무기에 사용될 수 있는 농축 우라늄 생산의 길로 한 발짝 더 다가섰다"고 우려했다. 따라서 이란 핵문제가 유엔 안보리에 회부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다만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가진 중국.러시아가 이란에 대한 제재 조치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아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남아공이 이란 핵 문제의 중재자로 나섰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11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이 2주 전 이란의 핵 협상 대표인 하산 로하니를 만나 중재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중재안의 핵심 내용은 핵무기 개발 의혹을 불러일으키는 우라늄 농축 과정의 일부를 남아공이 맡겠다는 것이다. 이란은 남아공의 중재안이 상호 신뢰 구축을 위한 일시적인 조치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농축의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베를린 =유권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