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화물선 '마도 1호선', 실물 크기 복원…806년 만에 제 모습 되찾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고려시대 지방에서 개경으로 물품을 운송하던 조운선(漕運船) ‘마도 1호선’이 800여년 만에 복원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6일 오후 전남 목포시 연구소 옆 해변광장에서 ‘마도 1호선’ 진수식을 개최했다. 전남도립국악단과 목포시립무용단의 축하공연으로 시작한 이날 진수식은 배서낭 모시기, 뱃고사, 돛올리기, 항해 순으로 진행됐다.

마도 1호선은 지난 2010년 충남 태안군 근흥면 마도 해역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선박이다. 발굴 당시 배 안에서는 도자기와 대나무 제품, 각종 곡물류와 식품류 등 유물이 확인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와 함께 발견된 목간이나 죽찰에 따르면 이 배는 전남 해남, 나주, 장흥에 있는 지방 향리가 개경의 권력자에게 보내는 물품을 운송하는 조운선으로 운용됐다.

마도 1호선은 전남 해남에서 청자와 젓갈을 가득 싣고 서울로 가다 충남 태안 인근에서 침몰했다. 정확하게 806년 지나서 제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마도 1호선은 지난 3월부터 8개월 간 진행된 복원 작업 끝에 길이 15.5m, 높이 3.2m, 너비 6.5m로 되살아났다. 이는 화물 30t 가량을 실을 수 있는 규모다. 마도 1호선은 평평한 바닥 저판에 휜 통나무를 그대로 붙인 외판이 있고, 1개의 대나무 돛 등을 갖췄다. 부재들은 참나무 못으로 이어졌고, 가장자리가 넓은 것도 특징이다. 저장공간을 넓히기 위해서다.

국립해양문화연구소 관계자는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고려시대 운항했던 조운선을 실물 그대로 복원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과거의 우리 배들이 어떻게 항해했는지 밝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고려 화물선 실물 크기 복원’[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