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통계 정부 입맛대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중국의 경제지표 통계가 '엉터리'라고 홍콩과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수치가 의도적으로 과장됐거나 축소됐다는 것이다. 보기에 따라 국가 차원의 분식 회계에 가깝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는 6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달 말 발표한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통계가 국가 전체와 지역 수치의 합이 맞지 않다고 밝혔다. 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전국 31개 성과 특별시, 자치구 중 3개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했다. 이 중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는 가장 높은 20%의 성장을 기록했다. 10% 이하는 윈난(雲南.8.6%), 지린(吉林.8.5%), 하이난(海南.9.5%)성뿐이다. 이 통계로 보면 중국 상위 10개 지역 GDP는 국가 전체의 82%인 5조4000억 위안이다. 이들 10개 지역 상반기 GDP 성장률은 11.53%로 추산된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는 이 수치에 근거해 올 상반기 중국 경제성장률을 계산하면 12.1%가 된다고 이날 보도했다. 그러나 지난달 20일 중국 정부가 발표한 상반기 성장률은 9.5%였다. 실제보다 2.6%나 낮게 발표한 셈이다.

외국인 투자 현황은 반대로 잔뜩 부풀려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올 1~5월 외국인 투자는 지난해보다 0.8%가 줄었다고 발표했다. 기준으로 제시한 지난해 동기 외국인 투자액은 225억 달러였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지난해엔 이 금액이 259억 달러라고 발표했었다. 1년 뒤 34억 달러를 줄인 것이다. 지난해 발표액을 기준으로 하면 올 투자감소율은 13.8%에 달한다. 외국인 투자가 크게 줄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통계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의혹이 있다는 것이 니혼게이자이의 분석이다.

한편 중국 국가통계국은 통계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올 1월부터 지방정부가 주요 경제지표 통계를 작성하지 못하도록 했다. 대신 통계국이 20여만 명의 조사원을 현장으로 보내 통계수치를 조사한다. 지금까지 중앙정부는 거짓 통계수치를 제시한 30개 지방정부와 기업에 대해 사법처리를 했다.

미국 피츠버그대 토머스 로스키 교수는 "중국 경제 통계의 문제점은 지방관리들이 통계 산출 방식을 공개하지 않고 결과만을 제시한 데 있다"며 "이 같은 관례가 개선되지 않는 한 통계의 불확실성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콩=최형규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