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복치 특징은? "거대한 잡식성 물고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개복치 특징’ [사진 중앙포토]

개복치의 특징이 화제다.

개복치는 몸길이 약 4m, 몸무게 평균 1,000kg인 거대한 물고기이다. 최대 2,000kg까지 나가는 경우도 있다. 몸은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통을 좌우에서 눌러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서 뒤쪽을 잘라낸 형태이다. 눈, 입, 아가미구멍은 작으며 양턱의 이빨은 새의 부리 모양으로 매우 단단하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몸 뒤쪽에서 높게 있다. 각각 17, 16연조(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져 있는 지느러미 줄기)이며 서로 마주보고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작고 배지느러미는 없다. 피부는 두꺼운 가죽 같으며 몸빛깔은 등면이 푸른색이고 배면이 회색빛을 띤 흰색이다. 몸에는 반문이 없다.

온대성 어류로 한국 남부, 전 대양의 열대, 온대 해역 등에 분포하며 서식수심은 0~300m이다. 보통 바다의 중층에서 헤엄쳐 다니지만 하늘이 맑고 파도가 없는 조용한 날에는 외양(外洋)의 수면 위에 등지느러미를 보이면서 천천히 헤엄치거나 옆으로 누워 뜨기도 한다. 무리를 이루지 않으며, 잡식성이다. 이들은 주로 해파리를 먹지만 해초를 비롯하여 동물성 플랑크톤, 오징어, 갑각류, 작은 물고기와 같은 것들도 섭취한다.

다 자란 개복치는 바다사자, 범고래, 상어 등을 제외하면 천적이 거의 없다. 못 먹는 것으로 알려진 지역이 많으나 한국, 타이완, 일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된다. 거대한 몸집에도 불구하고, 개복치는 온순한 편으로 알려져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개복치 특징’.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