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의 묘살린『야경』, 참신성과 기발함 보여|『강가에서』는 저력 지녔으나 시적 기교 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작품을 쓴다는것은 진보하겠다는 무언의 약속과도 같다. 진실을 일깨우기 위해선 아픔을 간직할 줄 알아야 한다. 다시말하면 고뇌하지 않는 작자는 진실이 우러나오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이같은 아픔은 하나의 시병과도같다. 고칠수 없는 시병과도 흡사하다. 아픔을 키워가는 마음, 키워갈 줄 아는 정신이 진실을 탄생케 한다. 이런 진실이라야 우린 감동하게 되고 이런 감동이라야 공감대를 지닐 수 있다. 아픔과 함께 살아가는 마음이라야 진실울 보아내고 가릴줄도 알게된다.
이에 몇자 적는다. 박승미(경남진주) 이행자(경남진주) 정임들(경남진양) 김경 (경남고성)등은 독자로서 상당한수준에 이르렀으나 이 네사람은 필연 그중 어느 한사람이 일인사역을 하고 있다. 앞으로 일인일역만을 해줄 것을 당부한다.
「생명가」 의 작자는 보법이무척 바르다. 우회 않는 수법으로 본령에 접어들고 있다. 보다 상의 투명과 정확성에 댄다면 한몫을 해낼수있겠다.
「강가에서」 는 세수가 비교적 고르다. 그만큼 시조로서 저력을 지녔다. 조금 더 시적기교에 유념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무」의작자에게선 두수중 한수만 가렸다. 종장 하나가 그래도 남았기 때문이다. 원으로 깊은 천착을 가해 보시기를.
「야경」 의 작자는 같은 수준의 것이 있었지만 단수의 묘를 아껴 뽑았다. 「밤하늘별떨기를 가르듯 일어서는 산맥 한강」 은 참신성과 기발함이 엿보이는 종장.
「대국」 은 어느 느티나무 아래나 가게앞에서 보임직한 상인데 미소조차 감돈다. 그런분위기를 비교적 잘 보여주고 있다. 종장에서 뒤집고 제치는 기교를 보였더라면 무게와 격이 높았을 것이다.
「창월」 은 아버님을 생각케하는 단수로서 종장의 처리가 쉬우나 만만치가 앉다. 그밑밤침은 바로 진실성이다.「산을 오르며」, 이 작품은 참고로 싣는다. 초장과 중장은 평시조의 형태를 지녔지만 종장만 사실의 형식을 빌고 있다b
상당한 경지가 사선에서 엿보이고 있고 또한 사투리마저 이상한 효과를더해 주고 있다. 가작이다. 그러나 앞으로도 사선은 .가급적 취급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기초를 다지는 과정에서 차질이 없드록 하기 위해서다. 평시조를 충분히 다진 뒤에해도 늦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