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소프트·웨어|정상근<중앙전산 원 원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우리가 컴퓨터를 이해하려 할 때는 컴퓨터 그 자체를 전공하려는 경우와 자기 전문분야에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입장이 있을 것이다.
또한 컴퓨터를 전문적으로 공부하려 할 때도 컴퓨터의 설계와 제작 등에 그 목적을 두는 경우와 이미 제작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목적이 있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 때 전자의 경우를 하드웨어(Hardware)라 하고 후자의 경우를 소프트웨어(Software)라 한다.
자동차를 예로 든다면 자동차의 실재·구조 등 제작 기술에 관한 공학적 지식을 하드웨어로 볼 수 있고, 운전 기술이나 유지관리에. 필요한 지식 등 자동차를 이용하기 위한 제반 지식을 소프트웨어라 할 수 있으며 컴퓨터 이용의 대부분은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컴퓨터에서는 구조나 원리를 따지는 하드웨어에 관한 지식은 우리가 이해하기도 극히 어렵고, 또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불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미 만들어진 컴퓨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 것인가 하는 지식인 것이다.
소프트웨어라는 말은 컴퓨터가 출현하면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적어도 1947년 이전에는 없었던 용어다. 특히 컴퓨터는 일반적인 기계와는 달라 컴퓨터 본체인 하드웨어만으로는 전혀 쓸모 없는 쇳덩어리에 지나지 않으며 그것을 원하는 목적대로 일을 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생겨난 말이 소프트웨어다.
소프트웨어는 유형의 기계에 비하여 무형의 것으로서 프로그램과 그 관련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라 하면 컴퓨터에만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사실은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기계는 모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즉 기계가 자동적으로 일을 수행하려면 일의 순서에 따라 기계를 운전시키는 제어수단인 프로그램이 어떤 형태로든지 미려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자동 세탁기도 추수·세탁·배수·헹굼…하는 식의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장치되어 있는 것이다. 프로그램이란 행하여지는 일의 내용과 순서를 명확하게 나타낸 계획을 말한다. TV의 프로그램은 그 날 방영되는 내용과 시간의 계획을 말하고, 음악회의 프로그램은 연주되는 곡목과 연주자, 그리고 그 순서 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자동 기계의 프로그램도 이와 같이 기계가 해야 할 내용과 순서를 이미 정해 놓은 것이다. 다만 자동 세탁기 등 일반적인 자동 기계는 모두 그 용도나 하는 일이 똑같기 때문에 메이커에서 미리 프로그램을 기계에 부착해 두면 그만이지만, 컴퓨터의 경우는 어떤 특정된 일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업무를 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도 제각기 틀리게 되고 각자가 그때그때 사용목적에 맞도록 작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컴퓨터의 하드웨어 가격은 연산을 위한 소자가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로, 다시 IC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왔는데도 오히려 더 싸지고 있다.
일설에 의하면 1백만 개의 명령을 실행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55년에는 5·5 달러였는데 62년에는 30센트, 즉 7년간 18분의 1이 되었으며 또 다른 설에 의하면 59년부터 65년까지의 6년간 가격은 40분의 1이 되었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가 발전하고 컴퓨터의 가격이 싸짐에 따라 하드웨어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술인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오히려 강조되고 있으며 오늘날 컴퓨터의 가격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합한 것으로 나타내는데 소프트웨어 가격이 하드웨어 가격을 훨씬 상회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이용에 관한 시스템 설계 방식, 프로그램기술 및 제반프로그램이라 정의할 수 있는데 컴퓨터가 올바른 기백을 제대로 발휘하느냐 또는 쇳덩어리에 불과한 바보로 만드느냐는 오로지 컴퓨터를 교육하고 훈련하는 기술인 소프트웨어에 달려 있다 하겠다.
컴퓨터는 구조물로 되어 있는 기계의 내용보다 그것을 어떻게 이용하느냐는 소프트웨어가 더 중요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