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재산 동결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국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북한.이란.시리아와 거래하고 있는 세계 모든 기업의 미국 내 재산을 동결할 계획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익명을 요구한 고위 관리는 "부시 대통령이 핵무기 같은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을 막기 위해 북한 등과 거래하는 기업의 자산을 동결하는 '대량살상무기에 대한 행정명령(WMD Proliferation Financing Executive Order)'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27일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은 다음달 2일 런던에서 열리는 G8(선진 7개국+러시아)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직전 이 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미국은 G8 정상회담에서 테러와의 전쟁을 치르는 미국의 입장을 이해해 달라고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포스트는 "북한이 운영하는 기업 3개와 이란 기업 4개, 시리아 정부의 연구시설 1개 등 모두 8개 기업이 부시 행정부가 겨냥한 일차 목표"라면서 "이 중 7개 기업은 핵이나 생물.화학무기가 아닌 미사일 프로그램의 거래와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을 하면 미국은 대상이 된 8개 기업과 거래 중인 전 세계 모든 기업의 미국 내 재산을 강제로 동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북한.이란과 거래가 많은 중국과 러시아 국적의 기업들이 일차로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워싱턴 포스트는 지적했다.

미국은 2001년 9.11테러가 발생한 직후에도 테러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을 사는 인물들의 미국 내 재산을 동결했었다.

워싱턴 포스트는 그러나 "이라크 전쟁 이후 미국의 정보에 대한 신뢰가 크게 손상된 상황이어서 재산을 동결당한 기업들이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워싱턴=김종혁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