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인 "미국보다 중국이 좋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이라크전 이후 악화일로를 걸어왔던 각국의 반미감정이 다소 누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반미 현상은 여전히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유럽은 전통적인 우방이었던 미국보다 중국을 더 선호하는 현상도 보였다.

이 같은 흐름은 퓨리서치센터의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퓨리서치센터는 미국을 포함한 16개국에서 1만7000명을 대상으로 4월 20일부터 5월 31일까지 '미국을 보는 세계인의 시각'에 대한 여론조사를 했다. 한국은 대상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표본오차율은 ±3%.

◆ 미국 이미지 개선=파키스탄.레바논.인도에서는 미국에 대한 호감도가 이라크전이 시작된 3년 전보다 더 높아졌다. 특히 인도의 대미 호감도는 크게 신장했다. 인도와 미국의 경제교류가 활발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알카에다의 열차폭탄테러로 20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던 스페인의 대미 호감도도 높아졌다.

지난해 말 지진해일(쓰나미)로 큰 피해를 보았던 인도네시아에서 미국에 대한 이미지는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인의 대미 호감도는 3년 전의 61%에서 올해는 38%로 크게 줄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인 79%는 지난해에 비해 반미감정이 크게 줄었다고 대답했다. 미국이 쓰나미 피해국가에 대해 적극적인 구호활동을 편 점이 반영됐다고 일간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분석했다.

이라크전에 적극 반대했던 프랑스와 독일 같은 유럽국에서의 반미감정은 여전히 거세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미국에 대한 호감도는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중국이 더 좋아=중국보다 미국을 선호하는 나라는 인도.폴란드.캐나다밖에 없었다. 전통적인 미국의 우방이었던 영국.프랑스.독일.네덜란드.스페인은 중국을 더 좋아했다. 영국.캐나다.프랑스인 4분의 3이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재선 성공으로 미국의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중국이 미국에 대항할 만한 군사대국으로 부상하는 것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컸다. 영국.프랑스.러시아에서는 70%가 이에 반대했다.

이슬람국들의 반미감정은 여전히 강했다. 터키와 파키스탄에서는 호감도가 20% 남짓에 불과했다. 쿠바 관타나모의 미군기지에서 이슬람 경전인 코란에 대한 모독행위가 있었다는 보도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