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남 교사들 교직에 "회의적"|윤정광 장학사, 2백87명 대상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중학교 남자 초임교사들의 상당수가 『사회적으로 교직이 천대받고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며, 다시 직업선택의 기회가 주어졌을 경우 교직을 택하지 않겠다는 교사가 27%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전직을 원하는 교사는 일반대학보다 사대출신자가 2배 가까이 되었고 교직생활에서 감독관청의 지시사항을 가장 큰불만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서울시 교육위원회 윤정광 장학사(45)가 서울시내 28개중학교에서 근무하는 81년 발령 신임남녀교사 2백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중학교 신임교사의 교직관에 관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전체응답자의 17.2%가 『사회적으로 천대받고 있다』고 답변했고 78%는『보통』, 『존경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4.8%에 불과했다.
신임교사들이 새로 대학을 나와 직업선택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다시 교직을 택하겠다』고 응답한 교사는 73%, 특히 남 교사는 59.8%로 여교사(81.1%)와 대조를 보였다.
한편 대학시절 교직자가 되겠다고 생각한 교사는 사대출신자가 34.4%로 일반대학출신(55.4%)보다 적었고 『적당한 때가 오면 전직하겠다』는 교사도 일반대학(7.2%)보다 사대출신자가 12.5%로 훨씬 많았다.
학생들의 교사에 대한 존경도를 묻는 질문에서 교사들은 『보통으로 대한다』(54%) 『조금은 존경하는 것 같다』(35.2%) 『매우 존경한다』(7.3%)로 응답, 사제지간이 존경대상에서 대등의 위치로 바뀌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중에는 『멸시하는 듯한 인상이 든다』도 3.5%나 차지했다.
교사의 장래에 대해서도 『별로 좋아지지 않을 것 같다』가 36.2%나 됐고 55.7%는 『조금 나아질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밖에 교직을 택한 동기는 『적성과 희망에 맞기 때문』이 49.5%, 『안정된 직업이므로』가 15.3%, 『사회봉사를 위해』가 10.5%를 차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