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등 대기업 공장 허용 검토…재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정부는 수도권에서 허가하지 않았던 국내 첨단 대기업의 공장 설립을 경제자유구역 안에선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국내 첨단 대기업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인천(송도.영종도.청라지구)에 공장을 설립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재 수도권에는 외국 투자기업만 공장을 설립할 수 있고, 국내 대기업은 공장을 세우지 못한다.

그러나 대기업들과 경기도 등은 투자 확대를 위해선 첨단 대기업의 수도권 공장 설립을 전면 허용하는 게 필요하다며 이번 정부의 대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16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민경제자문회의 제1차 물류.경제자유구역 보고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경제자유구역 내에 외국인 투자를 선도할 수 있는 국내 첨단 대기업의 공장 설립을 개별 사안별로 허용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

그러나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이 수도권 전 지역에서 첨단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규제를 푸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 첨단공장은 연관 분야의 부품 소재공장과 기존 공장이 있는 곳에 추가로 세우는 게 유리하다"며 "수도권에 흩어져 있는 각종 공장의 입지를 생각하지 않고 인천 경제자유구역 안에서만 공장 설립을 허용해 봤자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회의에서는 또 인천공항의 허브화 추진을 가속화하기 위해 인천공항 2단계 사업의 완공 시기를 애초 계획했던 2008년 말에서 베이징 올림픽이 열리기 전인 2008년 상반기로 당기기로 했다. <본지 6월 7일자 2면>

정부는 이와 함께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 투자기업의 내국인 종사자 및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에게도 주택을 특별히 공급할 방침이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