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북 책임"에 김영철 등 "우리도 할 말 많다"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5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군사 당국자 간 접촉을 둘러싼 진실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이번엔 우리 정부가 반격에 나섰다. 당시 회담에 참석했던 정부 당국자가 17일 비공개 브리핑을 했다. 공방 과정에서 새로운 사실도 하나둘 드러나고 있다.

 먼저 정부 당국자는 “우리 측은 15일 기조발언에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은 귀측(북)의 책임이 있다’고 분명히 제기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회담 내용을 밝히면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면서도 “북한은 기존과 전혀 달라진 게 없이 원칙적인 입장을 내세우며 ‘우리도 할 말이 많다’고 했다”고 공개했다. 천안함 사건의 주역이라고 우리 정부가 지목하고 있는 김영철 북한군 정찰총국장이 나왔지만 사과 또는 유감 표명조차 없었다는 얘기다. 남북 군사 당국자 간 접촉이 성사되기 전 북한이 황병서 총정치국장 명의로 모두 네 차례의 전화통지문을 보냈고, 우리 측은 두 차례 전통문을 보낸 사실도 확인됐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이 수석대표로 선정된 데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국방부 정책실장이 김영철 북한 측 대표(정찰총국장)의 상대가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김영철 총국장을 특사로 보내면서 김관진 청와대 안보실장과의 단독접촉(일대일 만남)을 요구했지만 격(格)을 맞췄다는 뜻이다.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보도문에서 “국방부 정책실장을 내보낸 것 자체가 북남대화에 대한 일종의 우롱이고 모독”이라고 비판했었다. 군사 당국자 간 접촉에 통일부의 ‘넘버 3’인 김기웅 정책실장이 참석한 데 대한 의문도 풀렸다. 정부 당국자는 “군사회담이지만 남북관계 전반, 안보 전반을 다뤄야 한다. 그만큼 중대한 회담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명단에 넣었다”고 설명했다.

 전날 북한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주장한 내용이 왜곡이라고 반박도 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가 (전통문을 통해) 비공개를 제안했고, 북측도 이에 동의했다”며 “북측이 보낸 전통문에도 ‘비공개접촉 참가자 명단’이라고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 접촉이 비공개가 된 건 “북한이 단독 접촉을 요구한 데다 서해교전과 같은 엄중한 사안이 논의될 수밖에 없었고, 2차 고위급 접촉을 앞둔 예민한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측이 “긴급접촉 제안을 무턱대고 거부했다” “전통문 내용을 공개하겠다(10일 전통문)고 최후통첩을 하자 1시간 만에 긴급 접촉에 응하겠다며 황급히 회답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은 지난 7일 발생한 서해 연평도 인근에서의 교전과 관련해 긴급히 논의하자는 것이었다”며 “북한이 두 차례나 정중히 제안한다고 해 관련 부처와 협의한 뒤 회담에 응하겠다는 답신을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 북한이 (협박성) 전통문을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1시간 만에 협의를 마치고 전문을 보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우연의 일치”라고 주장했다. 접촉에 참여한 당국자를 내세워 해명을 할 만큼 10·15 남북 군사당국자 간 접촉은 만나기 전보다 만난 뒤의 모양새가 사납게 됐다. 하지만 정부는 대화의 끈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 대화를 통해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긴장 완화를 추구하고 있다”며 “2차 남북 고위급접촉이 합의한 대로 예정대로 개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