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서울 남을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방 이전 대상 공공기관 중 최대 규모인 한국전력이 어느 한 곳의 광역단체로 갈 경우 다른 지역에서 반발할 가능성을 놓고 여권이 고민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전의 서울 잔류도 검토하고 있다. 여권은 한전 유치에 실패한 지역들이 불만을 제기하면 이 문제가 오는 10월 재.보선과 내년 5월 지방선거에서 악재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전이 이전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분산이라는 취지가 흔들릴까 여권은 염려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문희상 의장은 23일 기자들에게 "한전은 규모가 커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이전효과가 다섯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여의치 않을 경우 한전을 그대로 남겨놓는 방안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유치경쟁이 과열되고 후유증이 예상되면 '한전 잔류' 쪽으로 결정될 수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경제특보를 맡고 있는 같은 당의 김혁규 상임중앙위원도 이날 대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전 지방 이전을 놓고 지자체 간에 (지나치게) 치열한 유치전이 계속되면 한전이 서울에 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너무 서로 한전을 가져가려 하니까 공공기관 이전 대상에서 당분간 유보하자는 견해가 정부 내에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한전을 가져가는 지역에는 이보다 작은 규모의 다른 공공기관들이 좀 적게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전의 전체 직원은 2만여 명(서울 본사 1100여 명)이다. 2003년 한전은 국세 7596억원과 지방세 901억원을 납부했다.

문 의장과 김 위원의 발언에 대해 전병헌 당 대변인은 "한전 이전 문제를 놓고 여러 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작은 소재로 이야기한 것이 확대 해석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