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다자회담으로 발전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북한 핵 문제 해결의 중대 고비가 될 북.미.중 베이징(北京) 3자회담이 23일 시작되면서 우리 정부도 급박하게 돌아가는 분위기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이번 회담이 핵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현지에 파견한 외교부 이정관(李廷觀)북미 1과장이 전달해준 회담 상황과 외신 보도에 촉각을 세웠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이날 "중요한 것은 다자든 양자든 회담 형식이 아니라 대화의 성공 여부"라며 "때와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대화를 통해 평화적인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교안보 관계 장관.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다. 盧대통령은 또 "시작은 3자 회담으로 했으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선 다자회담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회담)참여 문제가 과제는 아니며, 정부는 회담 참여의 명분보다 대화의 성공과 실용적.실리적 결과를 중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로선 한국의 다자대화 참가 문제보다 핵 문제 해결의 진전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라종일(羅鍾一) 국가안보보좌관은 중국 역할론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관계국과 협의가 잘 되고 있다"면서 "중국도 역할을 할 것이고…"라고 말했다.

정부는 그러나 이번 회담 결과를 낙관하지는 않고 있다. 지난해 10월 북한 핵 문제가 불거진 이래 처음으로 북.미 고위 대표가 무릎을 맞대는 데다 핵 포기(미), 체제보장(북)을 둘러싼 입장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YTN에 나와 "대화가 시작됐지만 계속되리란 보장이 없고, 상황은 불확실하다"며 "이번 회담은 2~3년이 걸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오영환.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