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국무회의 별론데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22일 새 정부 들어 첫 화상 국무회의가 열렸다.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와 과천청사를 연결해 스크린을 보며 대화하는 방식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중앙청사 19층의 영상회의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했다.

이날 화상 국무회의는 정보통신의 날을 맞아 청와대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교실 칠판보다 약간 작은 1백20인치 스크린을 둘로 나눠 한쪽은 세종로 청사 회의실을, 다른 한쪽은 과천청사 회의실을 화면에 잡았다. 마이크 스위치를 누르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발언자를 화면에 비추는 시스템이다.

盧대통령은 "다소 생소하더라도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문화에 익숙해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무위원들의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고 한다. 특히 과천청사의 장관들 중 일부는 회의 막바지에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은 있으나 토론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종전대로 하자"고 말했다고 한다.

"소리가 잘 안들릴 때도 있고, 대면(對面)회의 때처럼 커피 브레이크(휴식 시간)가 없어 친밀도 높은 대화가 어렵다는 점이 아쉽다"는 반응도 있었다. '토론 공화국'을 지향하는 '참여정부'의 국무회의 방식으로는 맞지 않는다는 지적들이었다.

盧대통령은 "영상회의를 발전시켜 장관실마다 영상회의 시스템을 갖춰 관계장관 회의를 하면 좋겠다"면서도 "영상회의는 충분한 대면회의를 한 뒤 사실확인이나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점검 회의 때 개최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盧대통령은 "다음 국무회의는 청와대에서 진행하되 노트북 회의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영상회의를 준비한 행자부 측은 "목소리가 명확하지 않거나 늦게 전달되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2001년 시작된 화상 국무회의는 김대중 정부에서 일곱차례 열렸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