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가 연극 만으론 생활 못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우리나라 연극인들의 생활과 꿈은 어떤 것일까. 연극전문지 『한국연극』(주간 김동훈)은 연극인 2백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그들의 「생활과 꿈」을 7, 8월 합병호에 게재, 관심을 모은다.

<연극인의 「생활과 꿈」조사>
▲연극에만 주력하는 연극인(93명)=연극만으로 「빵」을 해결하는 사람은 26·8%에 불과하나 84·9%가 「연극은 평생을 걸만한 가치가있다」고 생각하고있다.
연극활동으로 버는 월 평균수입은 68·8%가 10만원미만이며 10만∼20만원이 16%, 20만∼30만원이 10·7%, 30만∼40만원이 3명에 40만원이상은 단1명뿐이다.
소속극단에서 월급을 받는 사람도 10·8%뿐인데 여자는 한 명도 없는 게 특징.
부업은 93명 중 40명이 갖고있는데 방송국의 시간제가 27·9%로 가장 많고 개인의 특기와 관련된 프리랜서(27·5%) 상업(15%) 대학강사(10%) 등의 순.
부업을 갖지 않은 53명은 그 이유로 「연극에 전념하기 위해서」(50·9%) 「적당한 부업이 없어서」(28·3%) 「능력이 없어서」(3·7%) 「시간의 여유가 없어서」(16·9%)라고 대답하고있다.
절대다수(95·8%)가 연극이 좋거나 적성에 맞아서 연극을 시작했다는 이들은 연극에 대한 직업의식 및 긍지는 높으나 「연극만으로는 생계가 곤란」(50·5%)한 것이 가장 큰 애로점. 「가족 및 사회의 이해부족」(16·9%) 「연극정책」(10·7%) 「공연기회의 부족」(8·6%) 등도 연극활동의 한 장애가 되고있다.
그러나 전직할 기회가 왔을 때 「전직하겠다」는 사람은 6·4%로 나타났다.
▲TV·영화·라디오에 종사하는 연극인(50명)=52%가 경제적인 이유에서 연극이외의 것에 종사하고있다. 「연극과 병행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도 28·0%나 되지만 실상 연간1∼2편 정도의 연극에 출연하는 등 연극인으로서는 겨우 명맥만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62·0%)이며 26·0%는 l편도 출연하지 않고 있다.
응답자의 44%가 앞으로 연극을 계속하겠다고 대답했는데 그 이유로는 「연극의 예술성」(50%) 「연극에 대한 사명감」(26·0%) 「언젠가는 연극에 전념하려고」(6·0%) 「극단의 요청으로」(6·0%) 등을 꼽았다.
경제상태는 당연히 연극에만 전념하는 연극인들보다 나아서 후자의 82·7%가 일반버스를 이용하는데 반해 이들은 62%가 자가용과 택시를 교통수단으로 삼고 있다. 연간 관람하는 연극편수는 1∼2편이 46·0%, 3∼10편이 44·0%, 20편 이상이 4·0%.
▲연극인들의 부인(52명)=59·5%가 「연극은 보람있는 일」로 받아들이고 있으나 남편의 직업에 대해서는 34·5%만이 「만족한다」고 대답. 결혼전후의 연극인에 대한 생각은 32·6%가 「호의적」에서 「비호의적」으로, 9·6%가 「비호의적」에서 「호의적」으로 바뀌었다. <이덕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