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다리 차량체병 갈수록 심해져|서울대교·잠수교 적정선 이미 18 ∼4%초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한강다리가 비좁다. 서울시는 매년 수백억원씩을 들여 다리를 건설하고 있으나 한강다리의「병목」현상은 여전하다, 서울시가 최근 조사한 「한강다리의 교통량조사」결과를 보면 11개 다리가운데 서울대교와 잠수교는 하루평균 차량통행량이 이미 적정선을 18∼4%나 넘어서 가장 붐비는 다리로 밝혀졌다.
또 제1, 제3한강교도 적정교통량의 98%에 이르러 한계점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러시아워」 에는 이들 4개다리가 적정교통량을50∽83%나 초과, 심한 교통체증 현상을 빚고 있다<별표> .
가장 붐비는 다리로 밝혀진 서울대교 (마포∼여의도간) 에는 하루평균 14만2천여 대가 오감으로써 적정통과량 12만대를 2만2천대나 넘어섰고 찬빙교도 하루평균 8만3천여대가 오가 적정선인 8만대를 3천여대 초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제1한강교의 하루 통과 차량수는 7만8천여대(적정선 8만대),제3한강교는 11만8천여대(적정선 12만대) 에 이르고있다.
교통전문가들은 다리의 적정교통량은 1차선당 1시간에 1천대가 통과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이를 넘어서면 심한 교통 체증을 빚게된다고 지적한다. 서울대교의경우 1차선당 1시간에 평균 1천1백80여대, 특히「러시아워」에는 무려 1천8백20여대가 지나가 적정선의 2배에 가까운 실정이다.
이 같은 차량홍수 때문에 출퇴근 때 다리를 지나는 차량들은 평시의 3∼4분에 비해 10여분씩 지체돼 13∼14분씩 걸리기 일쑤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과다교통량으로 다리의 안전도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고 지적하고 『현재 건설중인 원효· 서강대교 등 5개 다리가 마무리되는 84년쯤이면 다리 위의 차량통행체증은 다소 풀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