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참총장이든 합참의장이든 문책한다는 게 지금 분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윤 일병 사건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5일 국무회의에서 군을 강하게 비판하는 메시지를 던질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4일 “청와대는 이번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박 대통령은 이번 문제를 국가 혁신 차원에서 없애야 할 적폐라고 보고 철저한 대책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지난달 16일 박 대통령이 전군 주요 지휘관 140여 명에게 오찬을 대접하며 22사단 총기 난사 사건과 관련해 “부모들이 안심하고 자식을 군대에 보낼 수 있도록 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한 지 보름 만에 이번 사건이 불거져 더욱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지난 주말 휴가를 마치고 복귀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지난 2일과 3일 연속으로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며 관련 내용을 보고받고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고 격노했다고 한다.

 다만 청와대의 방침은 ‘선(先)진상조사-후(後)문책’이란 설명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군 수뇌부 문책론과 관련해 “진상조사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며 “(후속 대응은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부모들이 자식들을 안심하고 군대에 보낼 수 있도록 제도가 만들어지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상조사 후 상황 파악이 되고 나면 군 수뇌부에 대한 문책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진상이 밝혀지고 잘못이 있다면, 그게 육군참모총장이 됐든 합참의장이 됐든 문책해야 한다는 게 지금 분위기”라고 전했다.

 지난 3일 한민구 국방부 장관을 불러 거칠게 비판했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4일에도 “군 역시 지휘계통을 통해 제대로 보고됐는지, 쉬쉬하고 덮으려 한 건 아닌지 철저한 진상조사와 함께 책임질 사람들은 모두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권에선 세월호 참사로 한동안 어려움을 겪다가 7·30 재·보선을 통해 모처럼 탄력을 되찾는 분위기에 이번 사건이 확산되자 난감한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경제 살리기에 집중하고 일을 해야 할 때에 왜 이런 일이 터지게 하느냐”며 군 지휘부를 비판했다.

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