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한·미·일·중·러 5개국 대북 압박 논의 시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북한이 6자회담 복귀를 계속 거부함에 따라 나머지 5개국들이 더욱 공격적인 압박 방안을 비공식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뉴욕 타임스가 10일 보도했다.

그러나 5개국은 북한의 6자회담 거부 1년이 되는 6월까지는 회담에 복귀하라고 압박하는 기존 입장을 유지키로 합의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조지 W 부시 대통령 등 행정부 고위 관리들을 인용한 보도다.

◆ 배경과 내용=지난 2주 사이 박봉주 북한 내각 총리와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이 잇따라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은 두 사람에게 6자회담 복귀를 종용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에 따라 한국.미국.일본.중국.러시아는 6자회담 파국을 염두에 두고 새 카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 우선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더욱 자주, 강도 높게 실시하는 안이 고려되고 있다. 또 ▶북한이 알아차릴 수 있는 방법으로 대북 정보수집.정찰활동을 강화하거나▶무기.마약을 밀거래하는 북한 선박을 차단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2003년엔 헤로인 110파운드를 싣고 가던 북한 선박이 호주 정부에 나포된 바 있다.

신문은 "5개국은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아래 불법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들을 차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해왔다"며 PSI에 따른 대북 해상 차단도 논의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 방안들 중 채택된 것은 현재 없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 아직은 회담 재개에 집중=신문은 "북한의 회담 복귀에 '데드라인(시한)'은 없다고 말해 온 미국 관리들이 최근 눈에 띄게 좌절감을 토로하고 있다"며 "이들에 따르면 북한이 '6자회담은 군축회담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 중국도 불쾌해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미국의 관리들과 외교관들은 "앞으로 최소한 몇 주 동안은 북한이 회담에 복귀하도록 압박하는 데만 집중할 것"이라 말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한편 중국은 지난달 박봉주 북한 내각 총리의 방중 당시 경유 1만t을 지원하고 부채 상환을 늦춰주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최근 보도했다. 중국의 이 같은 제안은 북한이 에너지난과 외채 상환을 위한 외환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고 WSJ는 전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