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저온 7일째… "벼가 자라지 않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장마끝에 연7일째 계속된 저온현상은 오는 10일께까지 계속될것으로 보인다. 중앙관상대는 5일 이같은 저온현상은 우리나라가 「오호츠크」해상에 중심을둔 건조하고 온도가 낮은 1천20「밀리바」의 강력한 고기압 영향권에 들어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동해안 및 영남지방은 이 영향으로 밤낮의 일교차가 1∼3도밖에 안되는 전형적인 가을날씨가 되고있으며, 서울·경기·호남지방는 일교차가 8∼12도가 되나 최고기온이 평년보다 7∼10도 낮은 저온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상대는 그러나 이같은 날씨가 북미나 「유럽」·중공등에서 나타나고있는 것과 같은 기상이변으로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라고 밝히고 10일이후부터 평년기온을 되찾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일본 동남쪽 해상에서 북진중이던 제10호 태풍「렉스」가 방향을 북동쪽으로 돌리는바람에 우리나라는 전혀 영향을 안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러한 저온현상으로 벼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일종의 냉해현상인 흰빛잎마름병이 급슥도로번져 벼농사에 큰 타격을 주고있다.
벼의 출수기를 앞두고 번지고있는 흰빛잎마름병은 지난해 같은때보다 무려2∼3배정도가 늘어나 이상저온이 앞으로 5일정도 계속될경우 벼이삭의 벼알수가 정상인 1백8에서 1백4알로 줄어들것으로 농산당국은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29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이상저온현상은 중부지방의 경우 평균최저기온이 평년보다 3~4도가 낮은 16~20도인데다 지난 5월20일부터 7월25일까지의 일조시간 역시 오랜장마로 예년보다 40시간이 적은 3백49시간밖에안돼 벼가 제대로 자라지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중부지방 「수원」264호의경우 벼의초장(초장)이 67.9㎝로 지난해의 74.3㎝보다 6.4㎝가 짧고 중생종인 「밀양」21호의경우 지난해 57.3㎝보다 2.1㎝작은 55.2㎝밖에 안되는등 펑균3∼5㎝가량 덜자라 출수기도 예년보다 1주일가량늦고 이미팬 벼이삭도 알이 차지않고 생육이 부진하다.
올해 벼농사는 오랜장마로 5일현재 도열병이 이맘때의 1만9천5백㏊에서 2만9천㏊로 50%가량 늘어난데다(농수산부집계) 이같이 흰빛잎마름병까지 겹치고 있는 것이다.
경북도내에는 흰빛잎마름병 발생면적이 지난해1천6백62㏊보다 43.7%가 늘어난 2천9백52㏊에 이르고 전북지방에선 지난해 1백27.4㏊의 2배가 넘는 3백19㏊나되고 기온변동이 심한 영서지방에서도 크게 번지고 있다.
농사관계자들은 전국적으로 계속된 이상저온으로 벼의 생육에 큰지장을 받고 있다고 밝히고 기온이 낮은 요즘은 하오에 물을 3∼5㎝이상 많이대어 밤중에 저온피해를 막아주고 날씨가 정상화되면 물걸러 대기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