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교역조건 악화|수출조건 7% 수입조건 37% 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다 파는 수출 상품 값은 제자리걸음인 반면 사다 쓰는 수입상품은 급히 으르고 있어 교역조건이 계속 나빠지고 있다. 우리 나라 무역의 「마진」이 그만큼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29일 무협이 분석한 올 상반기 중 교역조건 동향에 따르면 수출 단가는 전년 동기비 7·6%의 증가에 그친 반면 수입 단가는 37·8%나 올라 순 상품 교역조건은 21·9%나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싸게 팔고 비싸게 사고 있는 격이다.
수출 채산성을 반영해주는 소득교역조건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2%가 떨어졌다.
한편 상반기 중의 수출입을 물가기준으로 따져 보면 수출량은 9·7%늘어난 데 비해 수입물량은 18·3%가 줄어들었다.
이 조사보고서는 이처럼 수출 단가 상승률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것은 1·12환율 조정에 따른 일부 「덤핑」현장과 해외수입수요의장기침체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으나 그래도 자동차·「시멘트」둥 중화학제품의 수출이 31·6%나 증가함에 마라 수출물량은 다소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수입물량이 줄어들고 있는 현장은 자본재 수입이 34·4%나 감소하는 등 기업의 투자 의욕이 크게 위축되고 있을 뿐 아니라 6개월 동안에 국제 원유 값이 93·5%나 오르는 등 수입단가가 대폭 오름에 따라 국내수입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