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맹 대사 회의서 한국 문제 토의 좌절-북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북한이 「유엔」에서 열린 비동맹대사회의에서 한국 문제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려던 기도가 좌절됨으로써 한국 내 사태를 이용해 이번 가을 「유엔」 총회에 한국 문제 결의안을 제출하여 한국을 국제 사회에서 궁지로 몰아넣으려던 북한의 책동은 쐐기가 박힌 것으로 보인다.
외무부 당국자는 20일 북한이 비동맹대사회의에 한국 문제를 제기하려던 책동은 일대 실패작이라고 비동맹회의 참석 국가들이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이 비동맹정신과 기본 원칙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이 원칙에 위배되는 한국 국내 문제를 제기하려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북한은 지난달 29일 「유고슬라비아」가 비동맹 긴급 특별 외상 회담을 제의한데 편승해 이 회의에 한국 국내 사태를 의제로 제기하려 했으나 「유엔」 대사급 회의에서 이 회의를 개최하지 않고 내년 1월 「뉴델리」 정규 각료 회의로 대체하기로 함으로써 북한의 1차적인 기도는 좌절되었다.
북한은 비동맹회의의 한국 문제에 관한 실무 작업단 회의를 지난 17일 소집, 「알제리」의 이름으로 ①최근 한국내 사태와 관련해 민주 제도의 탄압과 인권 위반 행위의 규탄 ②미국의 한국내 군사력 증강은 북한에 대한 군사 위협이므로 미국의 한국 내정 간섭 중지 ③구속 학생 및 정치인의 석방을 촉구할 것 등 세가지 사항을 비동맹회의의 의사로 결정해 이를 전체회의 「코뮈니케」에 반영시키려고 시도했었다.
「알제리」는 이 실무 작업단의 보고서를 전체 회의에 제기했으나 「파나마」 「모리타니」 「파키스탄」 등이 반대해 전체 회의는 이 보고서를 듣는데 그쳤다.
그동안 외무부는 50개국의 비동맹 국가들과 교섭을 하는 한편 「유엔」의 30개국 대표와 접촉, 대책을 세워왔다.
외무부 당국자는 북한의 기도는 실패했으나 앞으로도 각종 국제회의와 비정부 민간 회의에서 한국을 비방하는 책동은 계속 될 것으로 내다보인다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