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을·수원정 야권연대 딜레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7·30 재·보선을 앞두고 야권이 딜레마에 빠졌다. 야권연대를 할 것이냐, 한다면 어떤 형태로 할 것이냐를 놓고 복잡한 셈법이 작동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은 표면적으론 야권연대 움직임에 선을 긋고 있다. 새정치연합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는 15일 “야권연대에 대해 국민이 바라보는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며 “당의 대체적인 생각은 (선거에서) 이길 수 있다고 보고, 승패를 떠나서도 야권연대를 극복해야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밝혔다. 정의당 박원석 대변인도 “이번 재·보선에서 야권연대는 없다고 보면 된다”며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과 다를 바 없거나 그보다도 못한 행태를 보였고 이는 심판의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당초 정의당은 지난 9일 “야권의 혁신과 재·보선 승리를 위해 당 대 당 논의를 제안한다”(심상정 원내대표)며 새정치연합에 연대를 공식 제안했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지도부가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자 제안을 거둬들이는 모양새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가 이날 “야권연대가 필요하다고 제안을 했지만 매달릴 일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한 것도 연대에 부정적인 당 기류를 반영한 것이란 분석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야권연대는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카드다. 여론조사 결과 야권 후보의 난립으로 표가 분산되는 바람에 새누리당이 어부지리를 얻는 곳이 적지 않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기동민(새정치연합)·노회찬(정의당) 후보가 경합 중인 서울 동작을이나 박광온(새정치연합)·천호선(정의당) 후보가 출마한 수원정(영통)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 두 지역은 정의당 출신 후보들의 대중적 인지도가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의 이택수 대표는 “동작을과 수원정 모두 후보 단일화 없이는 야권의 패배가 분명해 보인다”며 “다만 미리부터 야권연대를 하겠다고 선언하면 지지율이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양쪽 모두 전략적 차원에서 선거전 종반으로 가서야 논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관측했다.

 양당 모두 내부적으론 연대에 긍정적인 기류가 강하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연대는 필요하지만 유권자들이 정의당과의 연대를 자칫 통합진보당과의 연대로 오해할 소지가 있어 걱정”이라고 했다. 정의당 관계자도 “동작을과 수원정에서의 후보 단일화는 캠프 차원에서라도 반드시 이뤄져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 김재윤 전략홍보본부장은 “원칙적으로 야권연대는 없다”면서도 “지역별로 논의를 할 순 있다. 그건 후보 간의 문제로 당 차원의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이윤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