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도의 종합정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을 비롯한 10대도시를 수마에서 지키고 한강 등 5대강의 수질오염을 막기 위한 대대적인 하수처리 시설 정비를 위한 정부의「마스터·플랜」이 확정됐다.
건설부가 마련한 「하수도 종합정비 장기계획」은 수도권지하수처리를 위해 한강내안을 따라 하수전용 대형 도수로를 설치하고 구미·반월·울산·창원·녹천 등 5대공단 및 인구 30만명이상의 10대도시의 간선하수시설을 96년까지 단계적으로 정비한다는 것이 그 골자다.
정부가 뒤늦게나마 공해 및 수질오염이 국민생활에 미칠 심대한 영향에 대한 올바른 문제의식을 정책화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 청사진의 의미를 액면대로 평가하고자 한다.
수도서울의 경우만 해도 하목 및 공해물질 처리시설의 미비로 불과 50m의 비만 내려도 물이 잘 빠지지 않아 상습침수지가 4백40만평이나 되어 「수도서울」이라 일컬어지고 서울에 임립한 공해공장과 8백만 서울시민이 내버리는 각종 오물이 바로 서울시민의 젖줄인 한강을 오염시켜왔다는 것은 여기서 새삼 지적할 나위도 없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이번에 막강정화를 위한 수도권하수처리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유역처리 방법과 지역처리방법 등을 놓고 세밀한 기술 및 타당성검사를 거쳐 유역처리방법을 택하기로 하고 비용이 더 들더라도 대형도수로를 설치키로 한 것 등은 올바른 첫걸음이라 생각된다.
유역처리방식이란 한강내안에「시멘트」관을 묻어 행주산성까지 하수를 방류시켜 새로 건선할 서울「댐」에 모이게 한 다음 정화방류한다는 것인데 이 같은 광역하수처리 방법은 연간 5억원 정도의 유지관리비가 들기는 하지만 한강의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취 및 미격저해를 막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계획을 마무리 짓는데만도 무려 4천6백24억원이라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며 길이 3백62km에 달하는 지천도수로까지 완공하는데는 15년 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시민 모두가 무심결에 버리고있는 오물, 그리고 『하수도관계예산 연간2억3천만원』이 단적으로 증명하는 정부의 공해문제에 대한 무관심이 마침내 이 같은 엄청난 응보를 받게했다고 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
예산이 많이 든다고 또는 시일이 많이 걸린다고 한강을 비롯한 5대강을 정화시키는 근본 대책을 우리세대가 회피할 수는 없다.
영국이「템즈」강을 되살리는데 「전쟁」이란 구호를 썼다는 것은 이 같은 사업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가를 한마디로 말해주고 있다. 한강살리기운동에 대한 군민의 인식도 전장에 나가는 전사의 마음가짐이 아니면 안 된다. 착수가 늦으면 늦을수록 오염이란 공해의 힘은 커져 더 많은 돈과 시간을 쓰도록 강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비단 한강뿐아니라 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등 우리의 5대강을 수질오염에서 보호하기 위해서는 국민모두가 지혜를 모으고 서로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정부당국의 성실하고 일관된 견인출로서외 추진력이 꼭 필요하다.
정부가 확정 발표한 시책을 수미일관해서 추진할 때 자신의 생활에 유익한 줄 알면서 이를 따르지 않을 사람은 없을 것이다.
정부의 이번 청사공이 강물 보호뿐 아니라 문명국가의 체모와 관계되는 도시의 하수도 보급율을 높이는 획기적 계기가 되어야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