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원연구』등 독창적인 사안의 노작들을 집대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 책은 저자가 1952년부터 1969년사이에 발표한『조선후기사상사』와『조선전기제도사』에 관한 논문을 모은것인데 전편에 걸쳐서 하나의 주제 또는 관련된 문제를 다룬 최근 발표된 논저들의 요지도 주에서 하나하나 밝혔고 또 『과전법과 그 붕괴』에서와 같이 원본에 상당한 수정을 가한 부분도 있어서 최근의 저자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된 논저인 것이다.
본서에도 수륵된『반계 유형원연구』는 실로 2O대초반에 쓴 그의 대학졸업논문인데 그 독창성에 있어서, 삭인·방증에있어서, 또는 사학사적위치에 있어서 오늘날에 흔히 볼수 있는 소위 박사학위논문따위와는 비교도 안되는 대작이었다.
부산피난시절 역사학보에 발표된 이 논문을 읽었을때의 감격이 지금도 생생하다. 저자가 실학사상에 착안하게 된것은 해방직전 자주 만날 기연이 있었던 안재홍선생의 영향이라고 한다.
그후 발표된『홍대용의 실학사상』이며 실학개념에 관한 일련의 논작이 우리 사학사의 한 시기를 수놓은 실학 「붐」을 선도한것도 잘 알려진 일이다.
저자가 후기사상사와 함께 전기제도사를 연구하게된 계기는 고 이상백박사를 도와서 전단학회에서 간행한 『한국사 근세전기편』의 대저를 저술하는데 정력을 기울였었기 때문이다.
『여말선초의 한양』『조선초기오위의 형성』『오위와 조선초기의 국방체제』『과전법과 그 붕괴』등은 모두 사학계의 수준을 높인 새로운 견해가 담긴 노작들이다.
필자는 학계에 크게 공헌할 간관자씨의 이들 역작이 넓은 시야와 세련된 사안에 있어서나 유려한 문장에 있어서 탁월한 역량을 지니고 있음을 높이 평가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