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산불 34%가 등산객 실화 탓|전국등산로 300곳 폐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산림청, 각시·도에 지시>
산림청은 3일 요즘의 찾은 산불에 대비. 도봉산 등산로 8개소를 비롯, 관악산·북한산 등 서울시내 등산로 18개소와 경기도 남한산성 등4개를 포함, 전국 3백 개 등산로를 폐쇄토록 각시·도에 지시했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폐쇄한 등산로 입구에 산림공무원을 고정배치하고 입산금지 팻말을 달도록 했으며 무단 입산자를 적발, 1차는 훈방, 2차는 산림법 위반으로 구속키로 했다. 폐쇄 된 등산로는 전국8백31개 등산로의 36%로 서울지방은 32개 가운데 14개가, 경기지방은 52개 중 38개만 남게 했다.
산림청은 고정등산로 폐쇄는 되도록 피하고 주로 ▲수풀이 우거져 산불이 나기 쉬운 등산로와 ▲새로 개발한 등산로 ▲계곡이나 수원(수원)이 없는 등산로 ▲같은 목적지로 가는 길이 여러 갈래일 경우 주 등산로를 제외한 나머지 등산로 ▲이용을 많이 하지 않는 등산로 등을 폐쇄했다.
산림청의 이 같은 조치는 산불원인분석결과 작년에 일어난 산불가운데 등산객에 의한 실화가 3백18건으로 전체의 34%를 차지하고있고 논두렁 태우다가 1백90건 (21%), 어린이 뷸 장난 95건(10%)등 입산자의 잘못으로 일어나는 산불이 전체의 65%나 차지하고있어 취해진 것이다.
산림청은 작년에 전체 등산로의 18%인 2백32개를 폐쇄했으나 올 들어 산불이36건이나 발생해 폐쇄 등산로를 늘린 것이다.
산림청은 2차로 입산금지구역에 들어갔다가 적발 된 사람은 구속을 원칙으로 처벌하고 공무원은 파면·감봉·견책 등으로 징계하며 산불피해가 50㏊이상일 경우 각시·도 산림국장 과 시장·군수·영림서장· 사방관리소장 등을 직위해제 키로 했다.
산림청은 지난해에도 전남 승주군수와 산림과장, 경북 성주군 산림과장 등을 직위해제 했었다.
산림청에 따르면 77년에는 산불이 6백82건 발생했으나 78년에는 9백25건이 일어나 36%로 늘었고 피해 면적도 산불 건당 2㏊에서 4㏊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 81% 7백50건이 3∼5윌 사이(3개월간) 에 발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