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식 값 td한선 정하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서울시는 최근 경제기획원이 자율화하기로 한 대중음식값을 지난해 11월 이후 신고가격보다 대체로 10∼20%정도 오른 현행 가격을 토대로 상·중·하등 3개의 상한선을 설정, 그 이상은 올려 받지 못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는 대중음식값을 업소의 자율결정에 맡기되 그냥 둘 경우 턱없이 올려 받을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 시·도의 지역실정에 맡게 기준(상한선)을 정하도록 한 경제기획원당국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2일 각 구청 위생과 직원을 동원, 관내 각 대중음식점의 현행 음식값 「샘플」조사에 나섰다.
서울시 당국은 이조사가 끝나는 대로 업소의 위치·규모 및 시설 등을 감안, 상·중·하등 3등급으로 나누고 음식값도 업소의 등급에 따라 상·중·하등 3개의 상한선을 정하기로 했다.
서울시내에는 현재 6천여 개소의 대중음식점이 있으며 이들 업소의 현행 음식값은 대체로 지난해 11월을 고비로 신고가격보다 10∼20%정도 오른 것이며, 값이 오르지 않은 것은 질이 떨어졌거나 양이 준 것이 대부분 이다.
대한요식업 중앙회 측에 따르면 신고가격이 대체로 5백50원인 설렁탕은 업소에 따라 6백∼7백원, 갈비탕(신고가격 6백원)은 6백∼8백원, 볶음밥(신고가격 3백50원)은 3백50∼5백원씩 받고 있으며 우동·자장면· 간자장 등은 대체로 신고가격을 받고있으나 질과 양이 종전보다 떨어졌다 (별표참조) .
따라서 당국의 이번 조치는 이미 오른 음식값을 그 이상 올리지 못하도록 현행 선에서 묶는 것으로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