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대부 등 정책금융 일부 은행서 기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은행별 여신 한도가 강력히 규제됨에 따라 외화 대부나 원자재 수입 금융 등 정책금융의 신규취급이 일부은행에서 봉쇄되고 있다.
16일 금융계에 따르면 은행별 여신 한도의 긴축운영으로 여신 재원이 압박 받게 되자 일부 은행이 외화대부의 실행을 지연시키고 원화 수입 금융도 신규대출기피는 물론 기대출금회수를 독촉하는 사례가 많아졌다는 것이다. 또 국내여신한도에서 제외 취급토록 한 내국「유전스」도 한도는 당초 1억「달러」에서 2억「달러」로 눌렸으나 은행 자금난으로 집행이 미미한 실정이다.
올해 13억「달러」가 책정된 외화대부는 10월말 현재 10억「달러」가 대출 승인되었는데 업계의 외화 대부수요가 급증, 내년도 분까지 2억5천만「달러」를 앞당겨 집행할 계획을 세운바 있다. 통화 당국은 일부 은행의 이 같은 정책 금융기피가 전반적인 은행자금난 때문으로 보고 월별 여신한도배정에서 외부 대부의 취급실적을 참작, 실적이 많은 은행에 한도를 늘려 배정할 방침이다. 외대 대부는 융자액의 85%, 원자재수입금융은 70%까지 한은 재할로 지원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