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소 62%가 부실 정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내 자동차 정비업소의 약62%가 부실 정비를 했거나 시설이 미비하고 기록관리 등 각종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올 들어 지난6월까지 시내 2백16개 유허가 정비업소(1급 1백52개소, 2급 64개소) 에 대한 단속 결과를 보면 이 가운데 차량점검·정비를 부실하게 했거나 시설미비·형식적인 기록관리 등으로 적발돼 1백개 소는 경고, 34개소는 보완 또는 개선명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7일 최근에 있은 제1한강교 「버스」추락사고를 비롯한 각종 대형차량사고의 대부분이 이처럼 부실한 정비와 무허가 노상정비 등에 의한 것이라고 지적, 각 정비업소에 대해 경비시설 보완과 보다 철저한 차량정비를 하도록 할 것과 각 운수회사에 대해서는 차량정비를 무허가업소에 의뢰하는 얼이 없도록 할 것을 거듭 지시했다.
서울시는 또 자동차 부품을 교환할 때엔 중고·재생품 또는 출처불명품의 사용을 엄금, 반드시 KS표시품 등 검사품을 쓰도록 하고 각 운수회사의 정비주임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결근·조퇴·이석을 금하며 유고시엔 유자격자에게 업무를 대행, 일상점검·출발 전 매회 점검·월례점검 등을 철저히 이행하라고 지시했다.
서울시는 앞으로 이 같은 지시를 어길 때엔 가장 무거운 처벌을 하겠다고 경고했다.
시 당국은 이와 함께 무허가 정비업소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는데 올 들어 6월말까지 무허가 정비업소 98개소를 적발, 고발조치 하는 한편 무허가 정비차량 1천5백14대를 적발, 모두 정비명령을 내리는 한편 이를 어긴 43대에 대해서는 운행정지처분을 내린바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