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중국인에 가깝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국인은 유전자의 구성 패턴으로 보아 일본인보다 중국인에 훨씬 가깝다.』
한국 원자력연구소 김영진 박사는 지난11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열린 제5회 국내외 한국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에서 한국인의 유전자 구조연구란 논문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인체에는 약 8만개 정도의 유전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가운데 연구대상은 80∼90개 정도. 김 박사는 작년부터 주로 신진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LDH(젖산분해효소), MDH(낙산분해효소), SDH(과당분해효소)등의 형성을 결정하는 유전자 15개에 대해 전기영동법과 효소염색법을 이용, 그 패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유전자 구성 패턴 이 중국인과 흡사한 사실을 밝혀 냈다.
일례로 PGM(당분소화효소의 일종)이란 효소를 만드는데 관여하는 2개의 유전인자의 비율을 보면 한국인은 0·72, 0·22이고 중국인은 0·75, 0·24임에 비해 일본인은 0·90, 0·10으로 큰 차를 나타냈다.
역시 당분소화효소의 한가지인 6-PGD의 제조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경우 한국인이 0·915, 0·085, 중국인이 0·934, 0·066, 일본인이 0·899, 0·101로 한국인은 중국인과 비슷 하다.
각 민족에는 외형·내장(각 장기의 치수)유전자 패턴 등을 종합하여 그 민족을 대표하는 표준인간 이란 것이 있다. 이중에서도 가장 불변하고 고유한 것이 유전자 패턴. 표준인간을 실정함으로써 시대변천·환경에 따른 변화·타민족과의 형질비교·유전질환이나 암 따위 특수 질환에서의 유전자 변화 등의 기준을 삼을 수 있다.
따라서 김 박사는 내년까지 30개정도의 유전인자를 더 분석해서 표준 한국인을 설정할 예정이다. <김이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