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서울 대공원|년내 착공 어려울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남서울대공원 건설사업이 건설부의 사업승인이 나지 않은 데다 보상문제를 둘러싼 현지주민들의 반발, 토지매입과 본묘 이장부진 등으로 연내에 착공되기 어렵게됐다.
서울시는 총 공사비 6백9억원(민자3백76억원)을 들여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 막계리 과천저수지를 중심한 1백63만5천평에 남서울대공원을 건설키로 하고 지난 한해동안 이 지역의 지질·기후·토질등 기초조사를 실시한 후 1월말까지 토지이용·교통등 기본세부계획을 토대로 사업계획을 작성, 건설부에 사업승인을 요청했다.
그러나 건설부는 과천면 문원리산148일대에 들어설 정부 제2종합청사의 건설계획과 진입로 공사등이 일부중복 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남서울대공원의 사업승인을 지금까지 미루고있다.
이 때문에 올해 1차로60억3천여만원을 들여 주·부 진입로(9·8㎞)와 동물원(9만7천6백평)건설에 착수, 80년까지 일부개강하고 86년에 완공하려던 당초 계획에 차질이 생겨 완공시기는 6개월∼1년쯤 늦추어지게 됐다.
더구나 이주대상 8백12가구의 집단거주지로 안양쪽 능선 옆 공원용지 7만평을 해제, 주거지역으로 지정해 놓았으나 이주민들은 가구당 이전보상비로 책정된 40만∼50만원으로는 규모·형태 등의 규제가 까다로운 집을 지을 수 없다고 주장, 실농비와 이농비를 요구하는 바람에 타결을 보지 못하고 있다.
또 토지매입대상 1백46만평중 30일 현재 52%인 74만여평 밖에 사들이지 못했고 공원지역 안에 설치된 분묘 1천8백 개도 유족들의 강한 반발에 부닥쳐 70개 밖에 이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시관계자는 착공시기가 늦어질 경우 각종 자재 값과 인건비 등의 앙등으로 예산구조를 재편성해야 한다고 지적, 남서울대공원을 당초계획대로 세계적인 규모로 완성하려면 1천억원은 소요될 것이며 현재의 사업비로 추진한다면 규모의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