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안보 불안 잠재워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와 정부 차원의 북핵.경제 관련 총력 외교전이 미국에서 펼쳐진다. 주요 인사들의 미국 방문 계획이 4월 중 줄줄이 잡혀 있는 것이다.

하이닉스 반도체에 대한 미국의 상계관세 부과와 해외 신용평가기관의 한국신용등급 하향 조정 움직임 등 현안들이 늘어서 있기 때문이다.

여기엔 5월 노무현 대통령의 방미 정상회담을 앞둔 사전 정지작업의 의미도 담겨 있다.

6일 출발하는 조윤제(趙潤濟)청와대 경제보좌관이 첫 테이프를 끊는다. 趙보좌관은 뉴욕.보스턴.샌프란시스코 등 주요 도시에서 해외 투자 설명회를 통해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가라앉히는 작업을 한다. 워싱턴에선 행정부와 국제 금융계 관계자는 물론 브루킹스 연구소 관계자 등 학계 인사들과도 두루 접촉할 예정이다.

10일엔 김진표(金振杓)경제부총리를 단장으로 한 정부 투자유치단이 영국 런던과 미국 뉴욕 방문길에 나선다. 유치단엔 지난 3월 방미 투자외교에서 한차례 호흡을 맞췄던 반기문(潘基文)청와대 외교보좌관과 차영구(車榮九)국방부 정책실장도 합류한다.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외국인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경제팀과 안보팀이 함께 움직일 필요성이 있어서다. 潘보좌관은 뉴욕 일정을 마친 뒤 워싱턴의 주요 인사들과 접촉해 盧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구체화할 가능성도 있다.

김희상(金熙相)청와대 국방보좌관의 방미도 예정돼 있다. 이달 중.하순께 출발할 예정인 金보좌관은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과의 면담을 추진 중이다. 金보좌관은 주한 미군 재협상에 대한 한국 측 입장을 설명하고 조율할 계획이라고 한다.

대규모 방미단 파견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한국의 상황을 미국 내 파워 그룹에 정확히 알리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한국의 안보.경제 문제에 대한 미국 내 불안감의 과잉 현상을 바로잡겠다는 취지다.

盧대통령은 지난달 潘보좌관의 방미 보고를 받고 "한국 경제에 불안한 기미가 있는 경우 안보.경제 책임자가 국제 금융시장을 상대로 설명회를 여는 등 신속하고 기민하게 대응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한편 러시아.중국 방문을 마치고 지난 3일 귀국한 라종일(羅鍾一)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은 "러시아와 중국은 한국의 북한 핵문제 평화적 해결 원칙에 공감하면서 적극적인 외교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羅보좌관은 "국제적인 안보 위협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와 러시아 안보회의가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