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집 앞 잘 안 쓸면 청소부가 고발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서울 영등포구는 14일 시민의 책임청소의식을 높인다는 이유로 구·동 직원 1천4백명과 청소원 6백80명(오물 1백77명·진개 5백3명) 등 모두 2천80명을 청소순찰요원으로 임명, 지정된 책임구역을 수시로 순찰케 하여 청소를 게을리 하는 주민이나 오물불법수집 또는 무단투기 자를 적발, 고발토록 했다.
영등포구는 가정·상가·점포 및 기관·단체·직장(공장포함)별로 주변책임청소구역을 설정, ▲간선도로에 점한 건물은 보도「블록」이 있을 경우 건물 앞 보도블록」까지 청소하고 ▲보도블록」이 없는 도로는 중앙선까지 청소를 맡으며 ▲건물사이의 공지는 절반으로 갈라 인접 건물주인이 청소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구청산하전직원들은 출퇴근 또는 공무 수행할 때 청소상태가 불량한 건물주인을 수시로 적발, 1차 노란색의 경고장을 주고 2차는 빨간색 경고장을 발부하며 그래도 시정이 안될 때는 최후 확인서를 첨부하여 고발토록 했다.
구 당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안내문 10만장을 인쇄, 간선도로변 건물 주인에게 돌리고 경고장을 만들어 전직원에게 항상 휴대하도록 했다.
영등포구는 오물·진개 청소원 6백80명이 청소차 34대와 오물수거 차 22대를 동원, 청소를 하고있으나 하루평균 1천3백40t씩 쏟아지는 쓰레기와 오물을 제대로 치울 수 없어 이같은 주민 청소제를 실시키로 했다는 것.
한편 영등포구 당국은 4월 첫째 주에 계몽을 편데 이어 14일부터는 일제 단속에 나서 청소를 제대로 하지 않아 길거리를 더럽힌 가리봉2동 80의31 수원집 주인 정용순씨(42) 등 21명을 1차 경고하고 5백91명에겐 주의를 환기시켰으며 오물을 불법 수집한 김봉섭씨(39·관악구 신림동) 등 7명을 고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