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국의 도시는 붕괴되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60년대 말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한 미국인의 대도시 이탈현상은 미국의 각 도시들을 붕괴할 위기마저 자아내고 있는 것으로 진단돼 미국의 커다란 고민으로「클로즈업」되고있다.
70년이래 이 경향은 더욱 심화. 미국 26개 대도시의 인구감소율은 5%에 달하고 있다. 반면 대도시를 벗어난 교외인구는 약 8%. 소도시나 농촌지역은 5%가 각각 증가했다. 이 같은 현상은 60년대 초까지 대도시로만 집중되던 경향과 비교하면 놀라운 이변이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급속히 팽창하는 서울인구를 생각하면 불가사의한 일이다.
이 같은 도시민의 교외·소도시 이주현상에 대해 도시계획전문가들은 그 원인을 ▲각주를 쉽게 연결해주는 고속도로의 발달 ▲교통기관의 기술혁신 ▲대도시의 격증하는 범죄 ▲공해산업의 중과세와 공장의 교외이전 ▲물가고 ▲재원부족으로 인한 학교교육부실 등으로 지적하고 있다. 특히 공장의 교외이전에 따른 실업과 범죄의 격증이 주요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70년부터 74년 사이 미국대도시의 범죄발생횟수는 인구 1천명당 52건. 51개 도시 중「샌프란시스코」와「워싱턴」만 범죄 발생률이 줄었을 뿐 대부분 70∼80%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중 대도시의 실업 증가율도 놀랄만한 숫자. 평균 12%가 증가했다.
이같은 원인들은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 악순환 함으로써 도시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
우선 교외·소도시 이주자의 대부분이 중산층이기 때문에 시내중심부에는 저소득층과 불량배들만이 남게됐다. 따라서 시나 주 정부에서는 가장 절실한 납세자 층을 잃은 것이다. 세금을 못 거둬들이자 도시환경은 물론 공공기관(학교·병원)의 혜택이 엉망이 된 것이다. 「뉴요크」시의 경우, 교사의 보수를 지급할 재원이 없게되자 교사의 수를 줄여 한 학급당 40명 이상의 학생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병원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많은 의사들이 교외로 나가 개업했기 때문에 의사의 절대수가 부족하다.
이런 사정을 타개하기 위해 궁여지책으로 시에서 고안한 것이 연방정부의 국고보조와 더 많은 세금을 거둬들이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국고보조도 시원찮을 뿐 아니라 중세가 부과되자 아직 이사하지 못하고 남아있던 중산층과 회사의 교외·소도시 이주를 더욱 부채질하는 결과가 됐을 뿐이다.
도시기능의 마비와 도시의「슬럼」화에 대해「일리노이」대학의「피에르·드·비치」교수는 아직까지 주민의 교외 이수현상이 두드러지지 않은 4개 도시의 예를 들어 도시기능 회복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아직까지 주민의 이탈현상이 나타나지 않은 대도시는「휴스턴」·「샤롯데」·「켄저스」·「보스턴」등 4개 도시.
이들 도시인들은 ①일의 능률을 위한 기후가 좋고 ②재산세의 비율이 다른 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대기업들이 이주할 필요가 없다 ③공원 등을 확장, 도사자체가 교외와 같다는 인상을 준다 ④관계당국과 학자가 범죄예방·실업방지 등의 공동노력과 함께 도시정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유·에스·뉴스·앤드·월드·리포트지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