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으로 꾸려야할 내년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올들어 11월말현재 도매물가 상승율은 17.9%, 전도시소비자 물가상승율은 25.4%, 서울소비자물가상승율은 26.5%를 각각 기록했다.
서울소비자물가의 경우를 보면 올해의 26.5%상승은 64년의 29.5%이어 두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도매물가가 최고를 기록했던 작년에도 소비자물가는 23·6%에 그쳤는데 올해는 11월말에 이미 작년수준을 크게 앞지른 것이다. 12월중의 물가가 크게 오르는 경우 최고기록을 낼 가능성이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러면 내년도 물가전망은 어떤가.
정부는 내년도 도매물가상승율을 12%선이 될것으로 예상하고 예산의 편성등 주요계획을 이 같은 물가 전망아래 수립해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보다 더 낮은 10%선으로 억제목표를 정하고 물가억제에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하고있다.
박봉에 시달리는 서민들의 입장으로 불때는 물가가 안정될수록 바람직 한 것이나 과연 이 같은 정부의 다짐이 실현성이 있을지 의심스럽다.
우선 내년중에 오를 것이 확실한 것만 꼽아 보아도 1월1일부터 철도요금이 평균 35%오를 예정이며 석탄값도 인상시키는 미정이지만 20% 정도가 오를 전망이다. 또 하곡수매가와 추곡수매가도 연례행사로 남아있다.
그뿐 아니라 내년 6월말로 기름값이 재조정되는 경우 그에 따른 물가파급효과가 따를 것이며 올해 기름값을 올리면서 조정해주지 않은「시멘트」·판유리·교통요금도 내년1년 내내 잠잠해주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또 금년말에 오를 비료값의 파급효과도 내년에 미칠 것이며 이밖에 학교수업료·각종 협정요금·수도료등 공공요금등도 출발점에 선 단거리선수처럼 인상시기만을 기다리는 형편이다.
이처럼 어려운 여건을 안고있는 내년도 물가가 과연 정부의 뜻대로 10%선에서 상승을 멈추어 줄는지 의문이지만 긴축정책·행정력 동원으로 목표달성이 가능하다해도 그 주름이 어떤 형태로든 서민들의 가계에 영향을 미칠것인 만큼 서민들의 가계는 어느 때보다 소비절약이 요청되는 해가 될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