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항조직 계보파악 일제소탕령|5개파등 60명 명단을 해안지구 경찰에 통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치안본부는 13일 부산·제주등 남부해안지역항만을 중심으로 일본등지에 밀항알선을 일삼아온 「쌍동이엄마」(40·여·부산시영도구)동 상습 밀항 알선자 26명과 집단밀항알선조직 창현과 총책 강창현(43·청룡호선주·제주도북제주군애월면납읍리)을 비롯, 집단밀항조직 5개파 34명등 모두 60명의 명단과 계보를 파악, 부산·제주·경수·삼천포·마산·목포·포항등 해안지역경찰에 통보, 일제검거에 나섰다.
치안본부는 이와함께 전국 해안지역경찰에 대해 검문검색을 강화하고 밀항방조전과자에 대한 감시를 철저히해 밀항행위를 뿌리뽑도록 지시하고 앞으로 집단밀항사실이 드러날 경우 관할 경찰서장을 해임하는등 즉각 문책하겠다는 내용의 내무부장관 특별지시각서를 시달했다.
경찰은 밀항사실이 적발된 선박에 대해서는 면세유류지급 중단등 제제를 가하는 한편 밀항 단속법을 개정, 밀항자에 대해 현행 3년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된 처벌규정을 3년 이상징역에 처하도록 강화할것등을 관계당국에 건의했다.
검거령이 내려진 밀항 알선자 명단과 조직의 계보는 지난9월11일 제77차로 일본으로부터 강제 송환돼온 밀항자 1백75명을 그동안 경찰에서 심사한 결과 밝혀진 것이다.
경찰집계에 따르면 일본밀항자는 6·25동란 직후를 「피크」로 해마다 줄어들었으나 73년부터 다시 늘어 올들어 강제 송환된 밀항자는 지난4월5일 76차 송환된 2백2명과 지난9월11일 77차로 송환된 1백75명등 3백77명에 이르고있다.
특히 최근에는 10억대 금괴밀수사건의 주범 유순남씨(37·여)가 병보석중 「홍콩」으로 밀항했다가 압송돼온데 이어 11일에는 부산에서 화물선을 타고 일본「후꾸오까」(복강)현 「간다」(역전) 정에 상륙, 개조된 냉동차를 타고 「오오사까」에 있는 「브로커」의 「아파트」까지 도착했던 남녀 한국인 밀항자 40명이 무더기로 일본경찰에 체포되는등 한때 잠잠했던 밀항이 다시 고개를 들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조사에 따르면 집단밀항조직은 대부분이 외항선원이나 소형선어 수출선의 선주와 선원등으로 밀항알선「브로커」를 통해 밀항희망자를 모집, 20만원∼30만원씩의 선금을 받은뒤 일본등지로 밀항을 시켜주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시 20만∼30만윈씩을 받는 수법을 쓰고 있다는것.
이들은 일본내 「브로커」들과도 연결돼 밀항희망자 가운데 재일교포등 현지연고자의 확실한 보증이 있을 경우 후불조건으로도 밀항을 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집단밀항조직은 대부분 1회에 20명 내외의 밀항자를 실어나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난해 5월18일 적발된 영창호(선장김덕운·53톤·마산시 금남사업소소속)의 경우 여자41명, 남자 5명등 한꺼번에 46명을 태우고 여수를 출발, 일본 「나가사끼」(장기)현의 「이끼」(일기)섬까지 갔다가 적발됐으며 11일「오오사까」에서 체포된 밀항단도 40명으로 구성돼 점차 대형화하는 이른바 「패키지·밀항」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수배된 밀항알선자 및 조직계보는 별표와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