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반 다진「거국안보」|안보정세 보고회 결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는 26일 제주도를 마지막으로 10개 시-도에 대한 안보정세 보고 회를 끝냈다.
지역별 안보정세 보고 회는 지난 5월7일 박정희 대통령도 참석한 가운데 중앙정보 부에서 열렸던 원로 및 각계지도층 인사 1백5명에 대한 안보「브리핑」이 시발이 돼서 이루어졌다.
시-도별 보고회는 대체로 김종필 국무총리의 인사·인지정세·북괴정세 및 남-북한 군사력 비교 등에 대한 보고와 안보영화 상영 등의 순서로 진행됐으며 이어「리셉션」과 오찬 또는 만찬이 뒤따랐다.
국방부 등 안보관계기관이 담당한 각종보고는 비공개로 진행됐고 김 총리의 인사만이 공개됐다. 초청대상 인사는 전 직장·차관, 역대지사 및 국회의원, 주요기관 및 단체장, 여-야지구당 위원장, 문화·언론·종교지도자 등으로 인원수는 지역에 따라 약 1백∼1백80명으로 도합 1천5백 명이나 됐다.
김 총리가 인사형식의 연설에서 강조한 것은 ①총화안보태세의 확립 ②자력국방의 필요성 ③북괴의 통일전선전술에 대한 경고 등이었다.
김 총리는 총화안보를 위해서는 특히 영도력에 대한 신뢰가 필요하다고 강조, 영도자를 구심점으로 국력을 조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6·25의 남침을 예고한 선견지명을 예로 들어 박대통령을 중심으로 뭉치자고 호소했다.
자력국방의 필요성에 대해 김 총리는『힘만이 평화를 유지한다』고 주장, 인지사태를 예로 설명하면서 다른 나라의 도움도 힘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역설하고 4대국보장 론, 6개국회의론 등을 반박했다.
김 총리는 특히 북괴의 통일전선전술과 위장평화공세에「옥타브」를 높여『민주니 자유니 인권이니 하며 떠드는 것이 결과적으로 김일성의 작전에 말려드는 것』이라면서 현 체제의 견지를 강조했다.
그 동안 정부에 비판적이었던 야당 인사·일부 종교 지도자 등까지 한자리에 모여 총력안보자세를 다짐했다는 점에서 지역별보고 회는 거국적 안보「무드」조성에 상당히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시-군 단위까지 이런 보고 회가 계속되면 현재처럼 고양된 안보「무드」는 상당기간 지속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런 분위기가 민간「레벨」의 기구로 제도화할 가증 성을 추측하는 이도 있다. <송진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