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야당과 소통할 정무장관 부활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최경환

새누리당이 정무장관 부활론을 다시 꺼내들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취임 1주년인 25일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남은 4년간 무엇보다 중요한 건 경제와 국민 통합을 위해 야당과의 소통을 이뤄내는 것”이라며 “지난해 6월 원내대표로서 당 대표 연설 때 말한 대로 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담당할 정무장관직을 부활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원내대표는 “책임 있는 정부라면 막무가내 발목 잡기 하는 야당 탓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야당과의 소통, 정치권과 소통을 높여야 국정운영이 원활해진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11월에도 친박계 노철래 의원이 비슷한 주문을 했었다. 노 의원은 당시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지금의 여야 간 ‘강 대 강’ 대치 정국은 청와대에서 대국회, 대정당, 대시민사회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업무를 맡아야 할 정무장관의 역할이 상실됐기 때문”이라며 정무장관 부활을 제안했다. 또 지난 1월 청와대에서 열린 새누리당 상임고문단 만찬에서도 신경식 고문이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정무장관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정무장관은 3·4공 때는 무임소장관으로 불리다가 5공 출범 후 정무장관으로 바뀌었으며 김영삼 정부 때까지 유지돼 오다 김대중 정부 들어 폐지됐다. 그러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특임장관이란 명칭으로 부활시킨 것을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정부조직 슬림화를 위해 다시 없앤 상태다. 새누리당에서 정무장관 부활 얘기가 계속 나오는 것은 청와대의 정무라인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 반영된 것이다. 청와대 참모들은 정무장관 신설에 대해 여전히 부정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기본 입장은 자꾸 청와대를 정치에 개입시키지 말라는 것”이라며 “청와대가 여당을 제치고 직접 야당과 접촉하는 건 과거식 정치”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최 원내대표가 박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라는 점에서 최 원내대표의 거듭된 정무장관 부활 요청에 대해 박 대통령이 어떻게 반응할지 관심거리다.

김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