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 盧대통령 北동향·경제상황 챙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은 21일 이라크전(戰) 대응책 마련에 분주했다. 경제.북핵 문제, 한.미 관계 등에 미칠 매머드급 영향력을 감안할 때 이라크전이 그에겐 취임 후 처음 맞은 국가적 난제(難題)이자 '위기'인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가진 박관용(朴寬用)국회의장.여야 3당 대표와의 청와대 만찬 간담회는 새로운 위기관리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야당을 비롯, 정치권 지도자와 국정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초당적인 모습은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만찬에서 한나라당 박희태(朴熺太)대표대행은 "이라크전 지원을 계기로 한.미 동맹이 더욱 공고해졌으면 좋겠다"며 "미군 철수는 더 이상 거론돼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는 "정부의 (비전투병 파병) 조치는 적절했고, 우리도 초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盧대통령은 " 4월께 (한.미 양국의) 국방 실무자가 주한미군 문제를 협의하게 될텐데 북한 핵 사태가 해결될 때까지 미군 철수문제는 나오지 않도록 잘 대처하겠다"고 답변했다.

민주당 정대철(鄭大哲)대표는 "이라크전 후 북한은 미국의 군사력이 세다는 점을 깨닫고 자지러질 가능성도 있지만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매한가지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며 "북한에 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란 메시지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盧대통령은 이날 오전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라종일(羅鍾一)국가안보보좌관에게 북한의 동향을 물었다. "북한이 이라크전에 대해 아무 말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이냐"고 했다.

羅보좌관은 "북한이 조심스럽게 사태를 관망하는 것 같다"면서 "북한의 경계태세 발령은 방어 위주의 개념"이라고 보고했다.

유인태(柳寅泰)정무수석이 "20일 저녁부터 시민단체의 반전(反戰)시위가 계속 예정돼 있다"고 보고하자 盧대통령은 "경찰의 무리한 진압으로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盧대통령은 이어 외국인 투자 기업의 최고 경영자 16명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같이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가장 불안해 하는 것은 북핵 문제이나 한반도에 전쟁은 없을 것이며, 유사한 혼란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