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잉여금, 자본금의 6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10대 그룹이 쌓아둔 잉여금이 납입자본금(주식 액면가 기준)의 6배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그룹의 납입자본금은 18조여원, 잉여금은 110조여원으로 유보율이 607.8%였다. 유보율이 600%를 넘어선 것은 사상 처음으로 지난해에 비해 무려 106.4%포인트가 높아진 것이다. 유보율이란 잉여금이 자본금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이 비율이 높으면 기업이 빚을 내지 않고서 쓸 수 있는 돈이 많다는 의미다.

그룹별로는 롯데가 1869%로 가장 높았다. 2003년부터 경영권 문제로 홍역을 치른 SK도 1187%를 기록, 그룹 경영진의 불안감을 반영했다. 지난해 자사주 매입을 활발하게 한 삼성과 현대중공업.한진 등도 유보율이 500% 이상이었다.

12월 결산법인 전체(금융업 제외)로는 543.24%로 2003년보다 70%포인트 높아졌다. 1000%이상인 상장사는 79개였고, 500~1000% 미만인 기업은 113개였다. 큰 폭으로 유보율이 늘어난 기업은 SK텔레콤(1만5865%).롯데칠성(1만2335%).태광산업(2만5178%) 등이다. 증권선물거래소 관계자는 "유보율이 높은 기업은 재무구조가 튼실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며 "그러나 영업 실적이 나빠도 땅이나 건물을 매각해 유보율을 높일 수도 있기 때문에 투자를 할 때는 유보율과 실적, 현금 흐름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대기업 자회사들이 좋은 실적을 올려 자회사 경영 상황을 반영(지분법 평가)한 모기업의 순익이 전년보다 두 배가량 늘었다. 지분법 평가란 모회사가 20% 이상 출자한 자회사의 순익과 순손실을 보유 지분만큼 모회사 실적에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대상 467개사의 총 평가손익은 8조4429억원이었고, 평가 이익을 낸 업체 수는 238개였다. 한국전력공사.SK.LG전자.삼성전자 등은 순익이 많았고, KT.코오롱.미래와사람.고려아연.아세아시멘트 등이 손실이 많았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