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서 월척 4수…슬항리선 평균 50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입춘이 지나면 얼음구멍 낚시도 끝이다. 겉으로 보기엔 단단한 얼음도 속으로 녹아 무게를 지탱 못하기 때문에 생명을 건 무리한 낚시를 피하는 게 좋다.
지난주는 장소에 따라 차가 많았지만 수준 작은 유지. 내가에서 「상도」와 「독립문」이 31cm, 30·5cm 등 각각 1수의 월척을 올렸으나 수량으로는 좋지 않았다.
내용은 「독립문」이 21cm∼24cm 정도로 7∼8수정도, 「신촌」은 27cm 허환씨가 대어 였다. 배포로 나간 「풍전」은 월척 1수를 비롯해서 회원 평균 20수 정도로 좋은 편이었고 연정민·백일민씨는 30여수씩이나 올렸다. 장안을 찾은 「현대」 「서라벌」합동「팀」은 「현대」손승완씨가 34cm의 대어, 「서라벌」도 월척을 올렸으나 전체적으로는 빈 바구니가 있었다. 이곳의 「용두」는 회원 평균5∼6수. 「강태공」은 송곡을 지나 가래골로 들어가 월척 1수를 했으나 수량은 좋은 편이 아니었다.
그밖에 월척은 없었으나 양으로 좋았던 곳은 슬항리 수로, 성환 방죽, 강화 구리포수로 였다. 「한수」가 당진에서 개척한 슬항리는 이승섭씨 등 3명이 1백수를 넘었고 회원 평균이 50수였다.
대어는 김학태씨 29cm, 얼음이 약한 것이 흠. 「쌍문」 「정조」는 성환에 있는 무명 방죽에서 21cm 이상 1백 20여수를 올리는 호황.
윤언덕씨 28·2cm가 대어였고 백용갑씨가 부상을 당하면서 올린 63cm의 송어가 「히트」.
「개봉」 「영등포」가 대회를 가진 구리포수로는 21cm 이상 85수, 10등 시상까지가 24cm 이상이었고 노종만씨는 50수를 올리는 등 겨울 낚시로는 푸짐했다. 대어는 조당권씨의 27·4cm, 「삼오」가 오랜만에 나간 명성에서는 박상일씨가 26수를 올렸고 회원 평균은 10여수씩으로 평작을 상회. 대어는 강성규씨 26cm, 양당의 「대지」는 준척 16수에 평균 10여수, 대어 29·4cm, 학성의 「동보」 ▲「성동」은 준척 10수에 강두진씨가 3·75㎏, 대어 28cm였고 얼음이 녹은 온수리에서 「신세계」 강신구씨 28·6cm로 조황은 저조, 강전에 「문화」도 저조한 성적이었다. 여름철 잘 나오던 목천을 택한 「서부」 「풍작」 「신당」 각각 1수, 4수, 1수 등 총 6수로 거의가 빈손으로 돌아와야 했고 대관리의 「대흥」은 40cm의 얼음을 깨느라고 고생만 했을 뿐 잔챙이 3수가 총 수확. 우장도 「솔」이 나가 얼음만 깨느라고 애썼을 뿐 이대명·박영철씨만이 10여수를 올렸다.
⊙지난주 월척조사
◇장안 ▲손승완(현대) ▲이근호(서라벌) ◇내가 ▲이성호(상도) ▲하민우(독립문) ◇배포▲김종량(보전) ◇가래골 ▲남창희(강태공)
⊙수요낚시
◇구리포 ▲삼오((73)9935) ▲신촌((32)6565) ▲상도((68)8384) ▲풍전((26)1836) ▲솔((28)8875) ▲진호((63)6622) ▲서부((28)2083) ▲풍작((69)5068) ▲신당((54)4708) ▲미아리 ((98)2831) ◇가래골 ▲문화((72)2983) ◇당일 ▲대흥((75)7788) ▲정조((22)7785) ▲쌍문((98)0326) <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