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토 저격 '1번 플랫폼' 잘 보이게 통유리 설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19일 공개된 중국 하얼빈의 ‘안중근 의사 기념관’ 내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문을 열게 됐다. [하얼빈 신화=뉴시스]

105년 전 안중근 의사가 일제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한 중국 하얼빈역에 안 의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이 19일 문을 열었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방중 때 요청한 의거 현장 기념 표지석 설치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하얼빈시와 중국 철도국 주최로 열린 이날 기념식에서 쑨야오(孫堯) 헤이룽장(黑龍江)성 부성장은 “한 세기의 긴 역사 동안 안중근 의사를 추모하고 그리워하는 수많은 사람의 마음을 담아 오늘 이곳에 기념관을 건립하게 됐다. 이로 인해 인류가 역사를 기억하고 평화를 소중히 여기며 과거를 반성하며 미래를 바라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기념관 공사를 책임졌던 쉬허둥(徐鶴東) 하얼빈 문화신문출판국 부국장도 “중국에는 특정 외국인을 위한 기념관이 매우 적다”며 “이번 안 의사 기념관 개관을 계기로 각국이 역사를 제대로 보고 인류평화를 추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중국 내 특정 외국인 기념관 이례적”

의거 직후의 안중근 의사

 하얼빈 역사 내 귀빈실을 일부 개조한 기념관은 200㎡ 규모다. 1909년 10월 26일 안 의사가 이토에게 총을 쏴 세 발을 명중시킨 1번 플랫폼이 잘 보이도록 통유리를 설치했다. 의거 지점에 새겨졌던 삼각형 모양의 바닥돌도 새것으로 교체하고, 그 위에는 표지를 걸어놨다. 표지에는 ‘안중근 격살 이등박문 사건 발생지(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쏴 죽인 곳)’라고 적혀 있다. 기념관 안에는 안중근 의사의 생애 및 항일 활동에 대한 설명 자료, 사진 등이 전시됐다. 기념관 앞엔 올리브 가지가 지구를 감싸 안은 모양을 새긴 상이 있다. 이를 도안한 쿵링파(孔令發)는 “안 의사를 추도하는 진정한 의미는 우리가 역사를 돌아보고 침략에 반대하며 평화를 창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얼빈시는 기념관 입구에 당시의 하얼빈역 모습을 그대로 재현했다. 시계탑의 시곗바늘도 안 의사가 의거 직후 “코레아우라(대한 만세)”라고 외친 오전 9시30분에 고정시켜 놨다. 안 의사는 현장에서 바로 체포됐다.

 외교부는 개관식 직후 “우리 정부는 한·중 양국 국민으로부터 존경받는 안 의사를 기리는 기념관이 의거 현장에 설치된 것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고 환영했다. 또 “이를 계기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이 안 의사가 주창한 ‘동양평화론’의 숭고한 정신을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6월 박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과 특별오찬을 하며 “안중근 의사가 한·중 국민 모두가 존경하는 역사적 인물인 만큼 하얼빈역의 의거 현장에 기념 표지석을 설치할 수 있게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고, 시 주석은 유관기관에 이를 검토하도록 지시하겠다고 말했다. 이후 표지석 설치 작업이 가시화되자 일본 정부는 “안중근은 범죄자”라며 극도의 불쾌감을 드러냈다.

박 대통령 표지석 부탁에 기념관 호응

중국 하얼빈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서 본 저격 현장. ‘안중근 격살(격폐) 이등박문 사건 발생지’라는 안내판이 걸려 있다. [하얼빈 신화=뉴시스]

 이런 일본의 반발을 의식해 중국은 개관식 직전까지도 기념식 건립 사실을 극비로 했다. 외교적으로 민감한 사안인 만큼 불필요한 잡음은 사전에 차단하자는 판단을 한 셈이다. 공사도 가림막을 쳐 철저히 비밀리에 진행됐고, 기념관 현판도 개관식 직전에야 단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쪽의 표지석 설치 요청은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뤄졌지만, 지난해 박 대통령 방중으로 급물살을 탔다는 것이 외교부의 설명이다. 중국 쪽에서 한국과의 우호 강화를 위해 어느 때보다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플랫폼 현장은 하루에도 수많은 이가 통행해 표지석 설치가 쉽지 않다”는 현실적 이유가 걸림돌이 됐고, 대안으로 나온 것이 한 단계 더 나아간 기념관 건립이었다는 설명이다. 표지석 설치를 놓고도 반발했던 일본 입장에서는 더 강도가 센 한 방을 맞은 셈이다.

 기념관 건립 과정에서 기념 시설의 규모나 전시물 내용 등에 있어서는 우리 정부도 충분한 의사를 전달했고, 중국 당국 역시 이를 반영하며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중국 쪽이 ▶하얼빈시에 지어지는 기념관이고 ▶안 의사가 중국에서도 존경받는 항일 열사라는 점 등을 이유로 자체적인 추진을 원해 한국이 예산 등을 지원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날 오후 1시55분부터 2시까지 5분 동안 진행된 기념식에도 한국 정부 인사는 참석하지 않았다. 이는 일본 외에도 안 의사가 황해도 해주 출생이라 북한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된다.

일본 반발 의식, 가림막 쳐 비밀 공사

 중국 정부 내에서는 최근 일본의 ‘역사 도발’이 오히려 기념관 건립의 명분을 줬다는 기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우경화 드라이브에 중국이 안 의사 기념관을 대응수로 내놨다는 것이다. 한편 신화통신 등 중국 언론은 안 의사 기념관 개소 소식을 일제히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특히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게 된 경위를 시간대별로 상세히 전했다.

 안 의사는 1910년 2월 14일 일본으로부터 사형을 언도받고 3월 26일 순국했다. 그러나 안 의사의 유해는 100년이 넘도록 찾지 못하고 있다.

베이징=최형규 특파원, 유지혜 기자

하얼빈역 안중근 의사 기념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