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 집안엔 4대 이어온 '나눔 DNA'가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젊어서부터 생활비를 쪼개 나눔을 실천한 김길윤 할머니. 요즘도 매일 도시락을 만들어 홀로 사는 노인들에게 돌린다.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았다는 ‘나눔 DNA’는 아들·손자에게 대물림됐다. 왼쪽부터 장남 신규창씨와 그의 아들 택형군, 김 할머니, 차남 규영씨. [프리랜서 공정식]

어머니는 늘 죽을 쑤어 배고픈 이웃과 나눴다. 가족도 그 죽을 함께 먹었다. 그걸 보며 자란 딸은 아끼고 또 아껴 고아와 장애 학생을 도왔다. 그렇게 새겨진 나눔 DNA는 그 아들·손자에게로 대물림됐다. 4대째 나눔을 이어가는 김길윤(76·대구시 지산 1동) 할머니 가족 얘기다.

 시작은 6·25전쟁 직후인 1954년, 김 할머니의 어머니인 고(故) 박차은 할머니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 살던 가족이 막 대구에 자리 잡았을 무렵이었다. 남편은 일자리를 알아보는 중이었고, 박 할머니가 헌 옷을 구해 돌아다니며 파는 보따리 장사를 해 생계를 꾸렸다. 그러다 집 근처에서 흙을 먹는 고아를 봤다. 넉넉지 않은 처지였지만 “저런 사람들 돕자”고 가족들을 설득했다. 쌀·옥수수죽을 쑤어 고아·노인들과 나눴다. 당시 10대였던 딸 김길윤 할머니는 “내가 배가 고파도 더 힘든 이웃을 도와야 한다는 생각이 그때 자연스레 몸에 배게 됐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는 자라 제약회사에 다니는 남편을 만나 가정을 꾸렸다. 어려운 이들을 돕겠다며 반찬값을 아끼고 생활비를 쪼갰다. 장모(박 할머니)가 어떤지를 아는 남편도 흔쾌히 찬성했다. 모은 돈으로 집 근처 초등학교 학생 5명에게 장학금을 처음 건넨 게 70년대의 일이었다. 남편 월급이 늘면서 장애인 학생들까지로 장학금 대상 또한 덩달아 늘었다.

 김 할머니의 두 아들 신규창(52·의사)·규영(49·제약회사 근무)씨 역시 ‘나눔 정신’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규창씨는 “어려서부터 하도 봐서인지 이웃과 나누는 걸 생각하게 됐다”며 “우리 가족의 후천성 DNA인 셈”이라고 말했다. 두 형제는 장애인 학교에 매년 기부했다. 두 달에 한 번 정도는 자신들이 돈을 내어 사회복지시설에서 급식봉사를 한다. 김 할머니는 “굳이 내는 돈 셈해보지 않아서 그렇지, 두 형제가 이리저리 기부하는 게 한 해 수천만원은 족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몇 년 전부터는 김 할머니의 손자, 그러니까 두 형제의 아들들이 동참하기 시작했다. 의경 복무 중인 신택수(22)씨와 곧 고교를 졸업하는 택형(19)군이다. 때때로 봉사활동 가는 김 할머니 등에 업혀 나눔이 무엇인지를 보고 자랐다. 그러더니 둘 다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동네 홀로 사는 노인과 결연을 맺고 수시로 찾아 안마를 하고, 말벗이 됐다. 용돈을 아껴 과자·사탕을 사 간다.

 김 할머니와 아들, 손자 3대의 나눔은 계속 현재진행형이다. 할머니는 동네 할머니·아주머니들과 도시락 120개를 만들어 매일 점심 때 홀로 사는 노인들에게 돌린다. 돈을 대는 건 두 아들이다. 가족 생일이면 잔치를 하지 않고 사회복지시설을 찾아가 음식을 나눈다. 그래서 김 할머니 가족은 생일은커녕 환갑이나 칠순 잔치조차 한 적이 없다.

 이런 활동이 지역사회에서 조용히 퍼져 대한적십자사는 지난해 김 할머니 가족을 ‘적십자 봉사 명문가’로 선정했다. 지난해 말에는 국민 추천을 받아 상을 주는 ‘국민추천포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지난 15일 지산1동 보성아파트에서 김 할머니 자택에서 인터뷰를 했을 때, 할머니는 연신 시계를 보더니 오후 1시가 되자 나가야 한다고 일어섰다. 120개 도시락을 돌릴 때가 살짝 지난 것이었다. 일어서는 김 할머니에게 왜 봉사를 하는지, 혹시 소원은 있는지 물었다. 김 할머니는 답했다. “나눈다는 게 자꾸 하면 그냥 즐거워져. 소원이라면…, 나누며 사는 게 손주들의 아이들, 또 그 아이들, 이렇게 5대, 6대, 7대까지 계속됐으면 해.”

대구=김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