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산재사망 4천여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사업장의 안전관리와 시설미비 및 근로감독관의 재해예방업무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해 지난 10년 동안 산업재해로 인해 4천1백1명이 사망하고 25만6천4백29명이 중대재해를 입었으며 이에 따른 산업재해보험급여액만도 1백36억8천6백9만4천원에 이르렀음이 노동청집계로 밝혀졌다.
20일 노동청이 지난 64년부터 73년8월31일까지 발생한 재해자집계를 보면 지난64년에는 1천4백89명이 재해를 입어 이 가운데 33명이 사망하고 2천5백21만원의 재해보상금이 지급된 것을 비롯 ▲72년 4만5천6백73명(6백58명) 34억5천6백74만원으로 7l년에 비해 102%가 늘어났고 73년8월31일 현재 3만4천2백52명의 산업재해자 가운데 4백72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 24억3천3백19만5천원의 사망 산재 보험급여를 지급했다는 것.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12만2백64명으로 전체의 46.1%를 차지, 가장 높은 재해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광업24.3% ▲운수 및 창고업 21.3%를 보였다.
재해의 원인 가운데 ▲근로자가 해당작업에 대한 기술부족이거나 안전관념의 부족 등 근로자관계로 49.5%가 발생했으며 다음은 ▲사업장기계기구 및 시설의 불비가 22.9% ▲근로감독관의 감독불충분이 10.7%의 재해율을 보여 근로감독간의 근무태세에도 문젯점이 있는 것으로 자체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