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위「스포츠소년」하위성적 평가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서을시 교육위윈회는 8일 이번「스프츠」소년대회에서 서울이 종합 8위로 지난해와 마찬가지의 저조한 성적을낸데 충격을받고 각급학교 지도교사들로 평가회의를 열어 이같은 성적을 낸 주요윈인을 자체분석, 대비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것은 충북「팀」의 경우 행정력의 뒷받침과 지드자들의 적극성이 우승의 원동력이 됐다는 사실에 비추어 취해지는 것.
시교위는 펑가회의에 앞서 서울이 하위권에 처진 원인을 ▲서울 학생들의 기초체력이 지방학생보다 떨어지고 ▲선수들의 투지력이 부족했으며 ▲연습 및 지도부족 등으로 분석했다.
영양면에서 시골 학생에 못지않을 서울 학생들이 등·하교를 거의 교통수단에 의존하고 그렇지않은 학생은 통학거리가 얼마안돼 쉬는시간이나 방과후 등에 특별히 운동장에서 뛰놀지않는 한 거의 걷는일이 없어「운동량 절대부족」이란 결과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시골 학생들은 거의 걸어서 통학, 그것도 통학거리가 먼학생은 몇㎞씩걷고 산과들을 누벼 뜀박질로 등·하교하는 학생이 많아 기초체력이 단단하게 단련돼 있다는 것이다.
시교위는 강력한 기초체력을 바탕으로 하는 육상·「하키」·「럭비」·「풋볼」등의 종목에서 서울「팀」이 참가「팀」중 최하위로 처진 것을 그 좋은 예로 들고있다.
투지력 부족은 학생들의 인격형성과도 깊은 관계가 있는것으로 실제로「게임」에서 서울 학생들은 전반에는그런대로 선전하다가 후반에서는 애써 싸우려 하지않은 것이 눈에띄게 드리났다는 것이다.
이는 또 자기학교나 고장의 명예를 아끼고 사랑하는 애교심·애향심이란 면에서도 문제가돼 지방선수들은 자기 경기종목이 끝나면 같은 도선수들이 나가있는 경기강을 몰려다니며열렬히 응윈을 하는데 비해 서울 선수들에게서는 거의 이런 현장을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이다.
또 대회를 얼마 앞두고 방과후를 주로 이용, 연습을 했기때문에 연습량도 크게 부족했다는 것.
시교위는 이같은 분석에따라 각급학교에 대대적인 걷기운동을 전개, 기초 체력관리와 함께 전학교가 장기적인 계획으로 체육의 저변확대에 힘쓰도륵 독려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