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다음주부터 매일 예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오염이 심할 때만 나오는 미세먼지(PM10) 예보가 오는 16일부터 오염도와 상관없이 매일 발표된다. 또 내년 2월부터는 발표 횟수도 하루 두 차례로 늘린다. 일반 국민은 대기정보 제공 사이트인 에어코리아(www.airkorea.or.kr)에 신청하면 26일부터 미세먼지 예보 내용을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로 받아볼 수 있다.

 정부는 10일 이런 내용의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환경부·기상청·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해 발표했다. 종합대책에 따르면 환경부는 2014년 5월 수도권, 2014년 8월 전국 등 단계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던 초미세먼지(PM2.5·지름이 미세먼지의 4분의 1 이하) 예보를 내년 5월 동시에 시작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기상청·환경과학원은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12명으로 구성된 예보전담팀을 만들었다. 지금은 예보 인력이 3명에 불과하다. 환경부는 또 환경과학원의 미세먼지 예측 시스템에 기상청의 분석 자료까지 적용하는 ‘앙상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위해 고성능 컴퓨터를 추가로 도입하기로 했다. 환경과학원은 지난 8월부터 미세먼지 예보를 하고 있지만 자료의 호환성 문제로 우리 기상청이 아닌 미국 해양대기국(NOAA)의 기상 예측 자료를 받아 예보하고 있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중앙일보 12월 7일자 2면

 정부는 또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에 미세먼지가 높은 날의 행동수칙을 만들어 보급하고, 취약계층에는 황사마스크를 무료로 지급하기로 했다. 식약처는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없는 엉터리 황사마스크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제2차 수도권대기질개선특별대책(2015~2024년)을 수립해 미세먼지 오염을 줄이기로 했다.

 중국발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정연만 환경부 차관은 “그동안 우리가 중국 측에 요구했던 한·중·일 대기분야 정책 대화를 내년 3월 20~21일 중국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고 말했다.

 한편 국회는 10일 중국 등지에서 유입되고 있는 미세먼지 피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주문하는 ‘국민건강 보호를 위한 미세먼지 대책강화 촉구 결의안’을 여야 합의로 채택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이소아 기자

관련기사
▶ 한반도 스모그 24시간 추적 위성 5년 뒤 발사
▶ '中 탓만 할 것 아냐'…노후 경유차, 대기오염 주범?
▶ 미세먼지 안 좋은 줄 알았지만, 이 정도일 줄은…
▶ 중국발 독스모그 피해…中에 배상책임 물으려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