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배분비 등 토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경=박동순 특파원】28일부터 이틀간 일본 외무성에서 열린 제2차 한·일 대륙붕 석유자원 고발 실무자 회의는 공동 개발에 임하는 쌍방의 구체적인 입장과 복안을 제시, 이에 대한 상호간의 의견을 종합한 다음 3차 회의를 12월말에 서울서 열기로 합의하고 폐막됐다.
상·하오에 걸쳐 이틀동안 열린 이번 회의에서는 1차 회의의 공동 개발에 관한 원칙적인 합의를 바탕으로 개발의 구체적 상황들에 대한 쌍방의 복안을 제시하는데 그친다는 양해아래 개발 대상 지역, 개발 사업 주체, 참가 기업 대책, 투자 방법 및 석유 배분 비율과 공동 개발 방식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으나 구체적인 합의는 없었다.
쌍방의 구체적 복안은 의견이 일치되는 부분이 있었으나 항목에 따라서 의견이 다른 점도 많아 견해 차이 부분에 대해서는 쌍방의 입장을 서로 충분히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3차 회의에서는 상호간의 견해 차이 부분에 대한 절충을 시도하게 될 것이나 현재로서는 공동 개발의 전도를 비관도 낙관도 할 수 없다고 한국 측 수석 대표 지성구 아주 국장은 말했다.
한편 일본 신문들은 개발 방식과 관련, 한국 측이 해당 지역에 광업권을 갖는 5개 한·일 양국 지역의 합작 회사 설립을 주장했으나 일본측은 노사간의 공동 사업 계약 방식을 주장, 의견이 맞섰다고 보도했는데 지 국장은 몇가지 공동 개발 방식의 가능성을 검토했을 뿐이며 일본측은 공동 사업 계약 방식을 희망하고 그 배경 이유를 설명했으나 이에 대한 한국 측 견해는 제시한 바가 없고 다만 현재로써는 합작 회사를 설립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견이 기울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 일본 대표는 회의 결과에 대해 『공동 개발 실현을 향해 크게 전진했다』고 말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