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연평도 피격 3년 … 혼자 묘비 찾은 당시 합참의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국립대전현충원, 2013. 11

‘2010년 11월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결연한 군인정신으로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고(故) 서정우 하사의 국립대전현충원 묘비에 새겨진 전사일입니다. 오른쪽 1989년 8월 13일은 서 하사의 생일입니다. 21년3개월. 서 하사가 목숨으로 지키고 싶어 했던 이 나라에서 살다 간 날입니다. 3년 전 그날 오후 2시34분. 다연장포와 방사포 등 170여 발의 포탄이 쏟아지던 그 시각. 병장 말년휴가 신고를 하고 부두를 향하던 서 하사는 부대에 복귀하다 파편에 맞아 전사했습니다. 이날 문광욱 일병은 부대에서 포탄 파편에 맞아 전사했습니다. 문 일병의 생일은 1991년 12월 20일. 만 18년11개월을 살았습니다.

 3주기를 나흘 앞둔 지난 19일 오후 1시. 사진 취재를 위해 국립대전현충원에 도착한 저는 묘소 앞에 서 있는 검은색 양복의 남성을 봤습니다. 혼자 묘비를 어루만지는 그의 표정은 슬펐습니다. 고개를 숙여 한참을 묵념한 그는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 듯 다시 묘비를 돌아보며 긴 한숨을 쉬었습니다. 누굴까? 뒤늦게 당시 합참의장이었던 한민구(62)씨를 알아본 저는 물었습니다. 한 전 의장은 “당시 군 책임자로서 차마 그날의 슬픔을 잊지 못해 참배 왔습니다”며 “다시 한번 고인들의 넋을 위로하고 유족, 국민들과 함께 아픔을 나누고 싶습니다”라고 말하며 자리를 떴습니다. 이후 인터뷰 요청을 위해 전화통화했습니다. 한 전 의장은 “젊은이들이 유명을 달리했는데… 도리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인터뷰를 사양했습니다. 전사자묘역 참배행사는 22일 오후 2시 해병대사령부 주관으로 유족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습니다.

프리랜서 김성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