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6만 재외동포 정책, 부처 간 일회성 중복사업 줄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임채완 교수(左), 이서행 명예교수(右)

“현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은 재외국민에게 지나치게 집중됐다. 외국에 사는 재외동포와 재외국민을 아우르고 국가별·지역별·세대별·분야별로 그들의 이익에 맞는 맞춤형 정책이 바람직하다.”(임채완 전남대 교수)

 “조선 후기(1864년)에 굶주림과 일제 폭압을 피해 러시아 연해주로 떠났던 한인들과 그 후손들이 150년이 흐른 지금 유라시아 대륙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올해 110주년인 미국 하와이 이민보다 40년 일찍 시작된 러시아 연해주 이민을 한민족 이민사에 반드시 포함시켜 이민사를 다시 써야 한다.”(이서행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중앙일보는 ‘이민 150년, 해가 지지 않는 한민족’ 시리즈를 마무리하면서 바람직한 새 정부의 재외동포정책 방향, 175개국 726만 명의 재외동포가 모국과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 등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세계디아스포라학회장을 맡고 있는 임채완 교수는 재외동포가 ▶모국에 대한 우호적인 환경을 거주국에서 조성하는 민간외교관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따른 파트너 ▶모국 문화 보급의 매개자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소중한 자산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한민족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제영토를 확대해야 한다. 재외국민용 주민등록증 발급 등의 정책으로 재외동포 권익을 향상시키면서 모국의 발전에 공헌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회성·시혜성 재외동포정책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부처 간 중복 사업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서행 명예교수는 “민족 정체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동포 기업을 연결해 경제 통합을 꾀하고 726만 명의 재외동포를 ‘경제·문화공동체’로 묶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족 개념의 ‘전향적 확장’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혈통이나 문화 동질성에만 집착하지 말고 자신을 한민족으로 동일시하는 정체성에 기초해서 민족의 개념을 새롭게 파악해야 한다”며 “재외동포를 중요한 행위자로 인정해 가능한 범위에서 모국 국민과 평등한 권리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법을 개정하자”고 제안했다.

◆특별취재팀(미국·중국·일본·러시아·카자흐스탄·독일)=장세정(팀장)?강인식·이소아·정원엽 기자

관련기사
▶ 대표적 디아스포라 국가 이스라엘 정책 살펴보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